분류 전체보기 1022

공도리

목마른 자에게 묻기를 어떻게 갈증을 해소합니까? 하고 물으니 '물을 마시면 됩니다.' 어떻게요? '떠서 먹으면 됩니다.' 갈증이 해소됐습니까? '아니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갈증이 해소됩니까? '직접 물을 떠먹으면 됩니다.' 말로 수천 번을 한다고 몸에 갈증이 해소되겠는가. 그냥 가서 말없이 직접 물을 마시면 될 것을 모든 진리는 글이나 말을 통해서 설명하고 이해시키지만 진리가 그 자체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많이 비유하지 않던가. 공도리를 이해 잘 한다 해도 공이 뭐요? 질문하면 앵무새처럼 설명은 잘해도 공함에 머물지 못하니 어찌 전도 몽상이 아닐 수 있겠는가. 진짜 공은 뭐요? 까꿍!... 우보익생 만허공에 중생수기 득이익 인데 개구리만 입을 벌려 물을 먹는구나.

카테고리 없음 2022.08.06

28. 우리말 반야심경 - <본문>덕산스님의 점심과 색즉시공 공즉시색-3

28. 우리말 반야심경 - <본문> 덕산 스님이 점심과 색즉시공 공즉시색-3 세간에서 공이니 색이니 하는 모든 법을 분별하는 것이 교학(敎學)이라면 출세간인 선(禪)에서는 공이니 색이니 설명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나타낸다. 연기작용은 무엇이 어디에 있다. 없다가 아니라 오직 지금 보면 볼 뿐, 들으면 들을 뿐, 하면 할 뿐이다.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을 가지고 교학 적인 이론과 선불교의 깨달음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중국 당대 금강경 해석에 최고라는 덕산 스님이 일화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이나 의 핵심인 공도리(空道理)에 대해서 제18일체동관분 마지막 구절에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과거심 불가득 현재심 불가득 미래심 불가득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과거의 마음에도 ..

정중무상선사

정중 무상 선사 .... 지안스님의 해설 정중무상(淨衆無相, 684~762) 스님은 지난 20세기 최대의 발굴로 손꼽히는 돈황문서를 통해 1200년의 긴 잠을 깨면서 비로소 우리에게 그 존재가 알려졌다. 초기 중국 선불교의 핵심인물로 부각됐던 그는 놀랍게도 신라 성덕왕의 셋째 아들이었다. 속성이 김 씨였기에 중국에서는 ‘김화상’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입적 후 ‘무상공존자(無相空尊者)’로 추대되기도 했다. 인도를 제외한 외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500나한상의 한 분으로 조성해 모시고 있을 정도다. 무상선사는 인성염불(引聲念佛)을 통해 무념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수행법이 널리 알려졌으며, 사천성 일대를 중심으로 중국 선종사의 대표적 계파인 정중종(淨衆宗)을 일으킨 인물이기도 하다. 무상선사에 대한 관심이 갈수..

카테고리 없음 2022.07.25

화두수행과 위빠사나 알아차림 수행과의 관계

화두를 참구하여 수행하는 간화선법이나위빠사나의 알아차림 수행법은 방법이나 이름이 다를 뿐내용은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화두와 알아차림은 같습니까 다름니까?화두는 화두고 알아차림은 알아차림이다. 손가락을 하나 들어 보이는 화두는 무엇인가?손가락을 들어보이는 것이다.(언어도단) 손가락을 들어보이는 알아차림은 무엇입니까?손가락을 들어보이는 것이다.(있는그대로) 화두와 알차차림은 수행에 들어가는 모양새는 다른 것 같지만나타난 결과는 같다. 두 수행법은 불교에만 있는 수행법으로직관의 알아차림은 부처님이 초기불교 수행법인 위빠사나 수행법이라면화두는 동아시아 대승불교에서 발달한  간화선 수행방법이다. 깨달음은 본래 하나의 진리( 연기작용)를지금 일어나 있는 그대로를 알아차리기 때문에 다를 수가 없다. 화두는 알아..

카테고리 없음 2022.06.24

삼매와 선정의 차이

삼매와 선정의 차이는 삼매는 선정을 이루기위한 전 단계이다. 삼매는 독서삼매 영화삼매 등 누구나 한 마음으로 집중되면 나타나는 현상이다. 선정은 불교 수행의 핵심으로 삼매가 일어나는 것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즉 늘 적적성성하게 깨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어나 있는 그대로를 알아차리는 것이다. 이 두 가지의 뜻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자. * 삼매(三昧)의 사전적 뜻은 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 한자의 三昧를 문자적 해석을 해 보면 三은 삼천세계로 昧 아직 밝지 못한 것을 말한다. 즉 날일 日, 해를 상징하는 밝음의 뜻이고 아닐 未 자는 아직 밝지 못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삼매는 광명이 완전히 나타나지 않는 상태 즉 사마디, 사마타로 고요한 새벽 같은 의미이기도 하다. 아침..

카테고리 없음 2022.05.22

25. 우리말 반야심경 - <본문> 조견 오온개공 도 일체고액 5-5

'조견 오온개공 도 일체고액' 이 반야심경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고 심경의 전체 내용을 함축하고 있기에 다시 한번 정리해 본다. 부처님 참 진리의 말씀은 우리가 모두 스스로 괴로움에서 벗어나 이웃과 함께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것.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나타나 일어나는 모든 것들이 공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라고 했다. 나타나 보이는 모든 것을 연기(緣起)라 하는데 조건의 인(因)과 작용의 연(緣)이 서로 잇대어 나타나(生) 보이는 것(起)을 줄여 쓴 말이다. 조건(條件 condition)은 어떤 일이 일어나게 하는 여러 가지 상태나 요소다. 모든 존재의 그러함(自然)이나 의지(意志)라고 할 수 있다. 작용(作用 interaction)은 서로서로 나누고 더하며 밀고 당기는 힘으로 그 힘의 성품이 에너지,..

24. 우리말 반야심경 - <본문> 조견 오온개공 도 일체고액 5-4

24. 우리말 반야심경 5-4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대상이 있고 온갖 분별하는 마음이 있는 것 같은데 왜 공(空)하다고 했을까? 그리고 이 공한 이치를 깨달으면 도(道) 일체고액(一切苦厄)'이라 모든 고통에서 벗어난다고? 물론 내가 공(空)하여 무아(無我)라면 내 생각을 기준하여 분별할 내가 없으니 당연히 괴로움도 없을 것이다. 어떻게 하면 공한 이치를 알아차릴까? 분별하는 마음만 내지 않고 늘 지금 일어나 있는 그대로를 알아차리면 된다고 설명한다. 대부분 '말은 쉽지만 실생활에서는 그렇게 하기가 쉽지 않다' 라고 한다. 왜 그럴까요? 온몸으로 직접 체험하고 한 마음으로 알아차림의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 교학 적인 이론에 치우쳐 공부하고 머리로 이해하는 데 그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실경험을 ..

카테고리 없음 2022.05.15

자애경 번역들

자애경(Mettā sutta)-테라와다종단 1. 누구든지 착한 일을 능숙하게 실천하고, 고요함의 경지에 이르고자 한다면, 유능하여 올바르고 정직하며, 말하는데 부드럽고 온화하며 겸손하자. 2. 만족할 줄 알고 남이 도움주기 쉽고, 분주하지 않고 검소하게 살아가며, 감각기관 고요하여 사려 깊고, 공손하며 사람들에 애착하지 말자. 3. 현자들에게 비난받을 사소한 허물도 짓지 말자, 그들 모두 행복하고 안전하기를! 모든 살아 있는 존재들이 안락하기를! 4. 어떤 생명으로 존재하는 것이라도, 연약하건 강건하건 예외 없이, 길다랗건 커다랗건, 중간치건 짧다랗건 미세하건 두터웁건, 5. 볼 수 있건, 볼 수 없건, 멀리 살건, 근처 살건, 태어났건 태어나게 될 것이건,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이 안락하기를! 6. 서로..

카테고리 없음 2022.05.11

각설이(覺說理) 타령에 대한 유래

각설이를 한문으로 쓰면 각설이(覺說理)가 된다. 각설이의 각(覺)은 '깨달을 각(覺)'자이고, 설(說)은 '말씀설(說)' 이며, 이(理)는 '이치리(理)' 이다. 이를 풀이하면 "깨달음을 전하는 말로서 이치를 알려 준다"라는 뜻이며, 한마디로 미개한 민중들에게 세상 이치를 알려준다는 뜻이기도 하다. 각설이의 뿌리는 ‘대승불교 혹은 밀교의 흥망성쇠와 스님들의 거리에서의 포교 혹은 만행’과 깊은 연관이 있다. 1,400여 년 전에도 ‘거리에서의 참선’ 즉 저잣거리에서 온갖 기행을 일삼으며 만행(漫行)을 한 3인의 스님들인 대안대사와 혜공대사, 원효대사이다. 삼국유사 원효장(元曉章), 대각국사 문집, 송고승전 4집 원효전 등에 따르면 신라의 대안대사(571~644)는 괴이한 옷차림을 하고서 항상 저잣거리에서 ..

카테고리 없음 2022.05.05

불교는 연기작용의 중도실행주의(中道實行主義)다

불교는 연기작용의 중도실행(中道實行) 주의다. 불교의 진리는 연기적 작용으로 나타난 실제(實際)이다. 생각의 관념적인 논리나 이해가 아닌 오직 지금 직관으로 실제 일어나 있는 그대로의 작용주의(作用主義)이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서로 잇대어 나타내 보여지기 때문에 그 작용하는 순간의 성품이 불성이다. 그래서 나타내 보여지는 모든 것은 불성을 지니고 있다. 그 성품은 어떤 이름을 붙이던 상관없이 영원하다. 그렇지만 고정된 성품이 아니기 때문에 空하다고 한다. 없다는 無와는 다른 계념으로 이해 한다. 즉 모든 존재는 나타내 보여지지만 한 순간도 멈추지 않는 작용으로 늘 변하여 뚜렷이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그래서 보여지는 모든 형상은 내가 인식하는 순간 이미 지나가 버린 허상의 잔상으로 있다고도 할..

우리말 불교 2022.04.29

22. 우리말 반야심경 - <본문> 조견 오온개공 도 일체고액 5-2

22. 우리말 반야심경 5-2 우리 몸과 마음은 오온개공(五蘊皆空)인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의 무더기인데 모두가 공하다는 말이다. 부처님이 에서 오온이 나이며 비물질적(受想行識) 물질적인 색(色)을 합하여 사람이라 한다. 부처님에게 한 비구가 질문했다. “어떻게 보고 어떻게 알아야 나(法)을 잘 알아차립니까?” 부처님이 설법하신다. “내 몸(色)의 감각 기관인 눈, 귀, 코, 입, 몸(眼耳鼻舌身)으로 외부의 대상을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감촉의 느낌(色聲香味觸)인 마음의 의식작용(受想行識)이 생긴다". 몸의 감각기관(色)과 외부에 있는 대상을 만나 나타난 느낌, 생각, 일으킴, 인식(受想行識)이 하나로 인연되어 나(法)라고 한다.”라며 설명하셨다. 다시말해 색(色)은 보이는 모든 대상(對象)이..

23. 우리말 반야심경 - <본문> 조견 오온개공 도 일체고액 5 -3

23. 우리말 반야심경 5-3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다. 불교에서는 초발심시 변정각(初發心時 變正覺)이라 말을 한다. 처음 내는 마음이 변하지 않는 바른 깨달음이라는 뜻인데 지금 여기서 나타나 있는 그대로 알아차림이 바른 깨달음이라는 말이기도 하다. 부처님이 전도선언을 하실 때 '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다'고 하셨듯이 시작과 끝이 같다는 말은 시작이 전부라는 말이다. 그래서 불경은 대부분 제목이나 첫 경문이 내용 전체를 함축하고 있다. 반야심경에서도 제목이 전체를 설명하고 오온개공 도 일체 고액이 전체 내용의 핵심이다. 5가지의 무더기(5온)가 나인데 내가 우주이고 우주가 나라 했다. 즉 나는 온갖 우주의 기운과 물질들로 내 몸을 만들기 때문에 우주 전체가 내 몸인 것이다. 그리고 내 몸은 ..

20. 우리말 반야심경 - <본문> 관자재보살 행 심반야바라밀다 시 4-2

20. 우리말 반야심경 4-2 에 나오는 명칭을 살펴보기로 하자. *보살(菩薩)은 범어인 보디사트바(Bodhi-sattva)의 음사(音寫)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보디(bodhi)는 ‘깨달음’, 삿트바(sattva)는 '존재', ‘중생’을 뜻하므로 보살은 ‘깨달을 중생’, ‘깨달음을 구하는 중생’, ‘구도자(求道者)’라는 뜻이기도 하고 즉 깨달은 존재로 그 뜻은 깨달음이 확실한 존재로 대기자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에게 모든 재산권을 물려 받은 아들을 보살이라할 수 있다. 보리살타, 보살, 보디삿트는 무주상보시(無住常報施)를 목적으로 한다. 무주상보시는 하되 함이 없이 나눔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한 모든 함은 이미 보살행(보리의 바라밀)으로 그 결과는 나와 모두에게 행복함이 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