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불교 67

51. 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가시리 아리랑이 반야심경의 핵심이다.

51. 우리말 반야심경 가시리 아리랑이 반야심경의 핵심이다. 반야심경에서 마지막 경문의 내용과 의 어원과 내용의 의미를 비교해 본다. 불교 진리의 핵심을 묶어 놓은 의 마지막 후렴구(염송)인 진언(眞言)인 '아제 아제 바라 아제 바라 승 아제 모지 사바하'가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민요인 과 고려가요인 의 어원이라는 것을 밝혀 보고자 한다. 물론 저의 논거를 인정하거나 이해가 가지 않을 수도 있지만 각자의 견해에 맡긴다. 우리 민족의 역사는 불교 역사라고 할 만큼 모든 분야에서 불교의 사상이나 정신이 뿌리 깊게 내제하여 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대중문화의 언어나 풍습, 노랫말 속에 불교의 내용이 담기게 되었고, 불교의 대표적인 동체대비 사상은 승속을 떠나 누구나 공부할 수 있게 다양한 방편과 형식으로..

50. 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마지막 반야심경의 핵심

50. 우리말 반야심경 마지막 반야심경의 핵심 범어 : गते गते पारगते पारसंगते बोधि स्वाहा ।।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영어 : gone, gone, gone beyond, gone together beyond, glory to illumination(or Nirvana!) 한문 : 揭帝 揭帝 波羅揭帝 波羅僧揭帝 菩提娑婆訶 한글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순우리말 : 다양한 의미나 뜻으로 해석하여 살펴 본다. 그동안 의 내용을 1년 동안 공부하고 연재하던 것도 이제 마지막 남은 핵심 주문만 남았다. 먼저 반야 바라밀의 참 진리가 어떤 것인지를 실재인 선행(禪行..

49. 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49. 우리말 반야심경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범어 : अहं वदामि प्रज्ञपारमितायामुक्तोमन्त्रःतद्यथा satyam amithyatvāt prajña pāramitāyā mukto mantraḥ tadyathā g 사턈-아미탸트와트 프라즌냐 파라미탸야 묵토 만트라하 타드 야타 ​영어 : so I say it is the mantra proclaimed in the perfection of wisdom: 한문 : 故說 般若波羅蜜多呪 卽說呪曰 한글 : 고설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우리말 : 이제 반야바라밀다주를 말하리라. 순우리말 : 이제 지금 바로 바른 앎의 말을 하리라. 반야바라밀은 앞에서 충분히 설명했다. 진언은 앞에서 설명했지만 소리 그 자체로 이미 완전한 여래(如來)..

48. 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48. 우리말 반야심경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범어 : सत्यं यत् एतेन सर्वदुःखानि निवारयितुं शक्यन्ते, अतः ​ sarva duḥkha pra-śamanaḥ 사르와둣카-프라샤마낫 영어 : It is true that it can eliminate all suffering, 한문 : 能除一切苦 眞實不虛 한글 :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우리말 :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순우리말 : 모든 괴로움을 제거하여 진실하며 헛되지 않기 때문이니 모든 인간의 삶은 행복하기 위해 산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그렇듯 불교의 목적도 괴로움을 벗어나 행복을 얻는데 있다. 부처님도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출가를 했고 6년간의 여러 스승을 만나 고행..

47.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땅 위를 걷는 것이 기적이다.

47.우리말 반야심경 땅 위를 걷는 것이 기적이다. 진언이나 다라니를 바르게 행하는 것은 지금 이 순간을 깨어 있는 무아이며 신통이다. 그때 평소에 경험하지 못한 어떤 신비한 현상이 나타나고 소원하던 일이 성취되면 그 대상이 주는 영험이고 가피라 생각한다. 하지만 가피는 절대 밖에서 오지 않는다. 내 안에 있는 불보살의 화현이 나타난 것이다. 주문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과 원력의 힘으로 만들어 낸 일체유심조의 자작 자수라고 설명한다. 현대 심리학에서는 자기 최면이나 집단 무의식 혹은 자기 암시로 프라시보 효과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신비한 것은 신통하다는 뜻이다. 신통은 수행 도중에 경험하는 6신통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하지만 신통이니 기적이니 하는 것은 사실을 알지 못할 때 그렇게 말하지만, 알면 신통이니..

46.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시대신주.... 짜장면 주문하면 짜장면이 나온다.

46.우리말 반야심경 시대신주.... 짜장면 주문하면 짜장면이 나온다. 범어 : महामन्त्रो महाविद्यामन्तो ऽनुत्तरमन्त्रो ऽसमसममन्त्रः सर्वदुःखप्रशमनः । सत्यममिथ्यत्वात् । mahā-mantra maha-vidyā mantra 'anuttara-mantra 'samasama-mantraḥ 마하 만트라 마하-위댜-만트라 눗타라-만트라 사마사마-만트랏 영어 : it is the great enlightening mantra, the unsurpassed mantra, the incomparable mantra, which eliminates all suffering, it is all true and nonfalsehood; 한문 : 是大..

45. 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고지 반야바라밀다

45. 우리말 반야심경 고지 반야바라밀다 범어 : तस्माज्ज्ञातव्यं प्रज्ञापारमिता tasmāj jñātavyaṃ prajñāpāramitā 타스맛 즌냐타위얏 프라즌냐-파라미타 영어 : Therefore, knowledge of the Perfection of Wisdom(the Prajna Paramita) 한문 : 故知 般若波羅蜜多 한글 : 고지 반야바라밀다 우리말 :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는 순우리말 : 그러므로 바른 앎으로 행복에 도달함은, 오직 지금을 일어나 있는 그대로 깨어있는 앎은 반야바라밀다는 '지혜의 완성'과 '지혜로써 피안에 도달한다'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반야바라밀다는 대승불교가 주장하는 대승의 근본목표이다. 반야(prajñā)는 지혜이고 바라밀(pāramitā)..

44. 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아뇩다라삼약삼보리

44. 우리말 반야심경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아뇩다라삼약삼보리 싸이가 노래하며 춤추는 강남스타일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이다. 오오오 오빠 강남스타일! 송장 끌고 다니는 이놈이 이놈이다. 아름다워 아름다워 그래 너 hey 그래 바로 ney 지금부터 갈 때 가지 가볼까! 오빠 강남스타일 있는 그대로 노래하고 춤추는 그대가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의 부처이다. 바른 앎과 바른 알아차림 바르게 쓰는 것으로 늘 지금을 있는 그대로 완전히 알아차림 하는 것. 한바탕 싸이의 말춤을 추면서 오오오 오빠 강남스타일 낮에는 따사로운 인간적인 여자 밤에는 심장이 뜨거워지는 남자가 되어 보라.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알아차리면 온갖 고통이 사라진 즐거움, 함께 완전함을 나눔 하는 삶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이기에, 한바탕 강남스타..

43. 우리말 반야심경 <본문>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고 득아뇩다라삼약삼보리

43. 우리말 반야심경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고 득아뇩다라삼약삼보리 범어 : त्र्यध्वव्यवस्थिताः सर्वबुद्धाः प्रज्ञापारमितामाश्रित्यानुत्तरां सम्यक्सम्बोधिमभिसंबुद्धाः ।। try adhva vyavasthitāḥ sarva buddhāḥ prajñā-pāramitām āśrityānuttarāṃ samyaksambodhim abhisaṃbuddhāḥ ¦ 드와-위아와스티탓 사르와붓닷 프라즌냐파라미탐 아슈리텨 아눗타랑 사먁삼보딤-아비삼붓다 영어 : All the Buddhas, situated in the three paths, have attained the supreme perfect enlightenment by taking re..

42. 우리말 반야심경<본문> 심무가애...지난밤 뒤뜰에서 뱀을 밟아 기절초풍을 했다.

42. 우리말 반야심경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범어 : अतः हृदयेबाधकंनास्ति, हृदये बाधकंनास्ति, अतः भयंनास्ति, स्वप्नात् दूरंतिष्ठ, अन्ते निर्वाणंप्राप्नोति। āśritya vi-haraty acittā avaraṇa cittā avaraṇa nā stitvād atrasto vi-paryāsā ati-krānta niṣṭha nirvāṇaḥ 아-스리뜨야 위 하라띠 아치따-와라나 칫따와라나-너스티뜨와드-아트라스토 위파랴사아티크란토 니쉬타-니르와나 영어 : Therefore, there is no obstacle in the heart, there is no obstacle in the heart, s..

41. 우리말 반야심경<본문> 언덕(中道)으로 가는 길(道) 3

41. 우리말 반야심경 언덕(中道)으로 가는 길(道) 3 반야 바라밀다는 반야심경의 핵심 내용이다. 반야'는 범어 프라즈나(prajna)로 '지혜'를 '바라밀다'는 파라미타(paramita)로 강을 건너 저쪽 언덕에 이른다는 '완성'을 뜻한다. ‘para’가 ‘저 언덕’, ‘mita’가 ‘건너다’ '길(道)'을 의미하며 바라밀은 ‘저 언덕으로 건너다.’ ‘완전한 것(피안)을 이루다’의 뜻이다 피안(彼岸)은 깨달음 열반으로 완전한 상태 · 구극(究極)의 상태로 현실의 괴로움에서 열반인 행복한 도피안(度彼岸)으로 해석한다. 부처님은 설법 중에 강을 건너 저쪽으로 간다는 길(道)의 비유를 많이 하고 있다. 이 땅은 사바세계라 하며, 중생은 몸과 마음인 오온에 끄달려 분별심으로 사는 괴로운 삶을 의미한다. 강물..

40. 우리말 반야심경<본문>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2

40. 우리말 반야심경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2 누구나 불성을 깨워서 중생을 위해 대비심의 서원을 세우고 지혜와 자비를 실천하면 보살이 된다. 보살은 자식을 생각하는 어버이와 같이 조건 없이 절대의 동체대비심이 무주상보리심이다. 언제부터 한국에서는 여성불교 신도들을 보살이라 호칭했는지는 모르지만 현대의 우리 불교는 선불교가 아니라 보살불교라고 해도 될 만큼 보살신앙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면 보살의 화현은 어떤 종류가 있는지 살펴보자. 대표적인 보살이 관세음보살이다. 범어로는 아발로키테스바라(अवलोकितेश्वर avalokiteśvara)이다. 대자대비(大慈大悲)의 상징으로 아미타부처님의 좌측에 협시하는 보살이다. 부처님 열반 이후 미륵부처님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에서 구원하는 자비로운..

39. 우리말 반야심경<본문>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1

39. 우리말 반야심경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1 범어 : बोधिसत्त्वः प्रज्ञासिद्धतेपारमिता Bodhisattvanam prajñā-pāramitām 보디 싸뜨와스남 프라즌냐-파라미탐 ​영어 : the Bodhisattva follows the Perfection of Wisdom 한문 : 菩提薩埵 依般若波羅蜜多故 한글 :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우리말 :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순우리말 : 지혜를 가진 사람은 참 진리의 깨달음에 의지하므로 보살(菩薩)은 범어 보디사트바(bodhisattva)를 음역한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이다. 범어 보디(bodhi: 보리)는 깨닫는다는 뜻이며 시트바(sattva)는 존재, 중생, 유정(有情)을 뜻한다. 즉 보리살타는 깨달은 ..

38. 우리말 반야심경<본문>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 이무소득고 2

38. 우리말 반야심경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 이무소득고 2 4성제(四聖諸)는 무명이 원인(集)으로 생긴 괴로움(苦)과 괴로움을 소멸하는 방법(滅)과 수행의 길(道)이다. 부처님이 보리도량에서 깨달음을 얻은 후 최초로 녹야원에서 5명의 수행자를 앞에 놓고 ‘중도(中道)를 정등각 했다’라고 설한 다음 4성제와 8정도가 중도의 바른 앎과 실천 방법이라고 법문하셨다. 즉 중도는 연기법의 작용성을 바르게 깨달아 분별없는 삶의 제법실용(諸法實用)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연기작용(중도)을 확철히 알아차리지 못하면 ‘나’라는 실체가 있다는 착각(무명)으로 괴로움(苦)이 시작된다. 이러한 괴로움으로 시작된 4가지의 성스러운(四聖諸) 진리는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오온이 본래 공함으로 무아(無我)임을 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