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반야심경 17

범어 반야심경

Prajna Paramita Hrdaya Sutram Paramita-피안에 달하는 것, 완전한 성취, 음역- 到彼岸, 度, 度無極, 盡邊, 음사-波羅蜜 婆羅蜜, 波羅蜜多 parami여, 極, 究竟 parami--gata형, 도피안 paramim-gata형, 승, 구족,皆具足, 도무극, 도간피안, 도열반 Aryalokiteshvara Bodhisattva gambhiram Prajna Paramita caryam caramano, vyavalokiti sma panca-skanda asatta sca svabhava sunyam pasyati sma. Iha Sariputra, rupam sunyam, sunyata lva rupam, rupa na vrtta sunyata. Sunyataya na vr..

한글 표준 반야심경<조계종 2011년 발표한>

2011년 9월 20일 대한불교 조계종 187회 중앙총회에서 종단표준의례 한글반야심경 동의안을 가결하였으며, 10월 5일 공포되었다. 이하 본문의 한국어 부분은 조계종 표준 한글반야심경을 인용한 것이다. 부처님의 지혜를 일으키는 진실한 경 대자대비 관세음보살이 깊이 지혜를 일으키는 수행을 할 때에 우리의 몸과 마음이 모두 공(空)함을 밝게 비추어 보고 모든 괴로움과 재앙을 벗어났느니라. 지혜를 구하는 사리불이여, 물질과 육신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도 물질과 육신과 다르지 않음을 알아라. 물질과 육신이 곧 공이요 공이 바로 물질과 육신이로다. 우리의 마음도 또한 그와 같음을 알지니라. 지혜를 구하는 사리불이여, 그러므로 이 세상 모든 것은 다 공의 나타난 모습이니 생겨나도 참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요. 없어..

반야심경의 역사

현재 한문으로 번역되어 있는 『반야심경』에는 광본(廣本)과 소본(小本) 두 종류가 있고, 현재 우리들이 독송하는 현장(玄 ) 역은 서분과 유통분이 빠진 소본이다. 『반야심경』의 한역본에는 일곱 종류가 있는데, 이 가운데 현장 역의 『반야바라밀다심경』과 최초의 번역인 구마라집의 『마하반야바라밀대명주경』은 소본이고 나머지 다섯 종류는 광본이다. 반야심경은 현장법사가 구법여행을 떠날 때 주문으로 외우며 구법여행을 한다고 전래한다. 삼장법사들이 등장하는 서유기가 반야의 지혜에 대한 비유된 소설이다. 부처님이 깨달은 연기법의 실체인 반야의 진리에 대한 600 권이나 되는 대반야바라밀다경을 한문으로 260자도 안 되게 짧게 요약하였지만 대승불교의 깊은 진리를 함축했다는 경전이다. . 광본 반야심경에는 다른 경전과 ..

[스크랩] [설우스님의 선에서본금강경] 제4강 대승정종분(일심, 무주상보시)

설우스님의 선에서 본 금강경 제4강 대승정종분 ☞화면을 두번누르기 하시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관련사이트 : BTN 불교TV [바로가기] 방송보기 : 설우스님의 선에서본금강경 [바로가기] 녹취록 : 제4강 대승정종분 [바로가기] 법인정사 [바로가기] 설우스님의 선에서 본 금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