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천태삼부경 12

체상용(體相用)으로 화두3실문(話頭三實門)과 「적본문10묘」의 비교

에서 적본문10묘에 대한 레포트 중에 아래 내용                                        체상용(體相用)으로 화두3실문(話頭三實門)과 「적본문10묘」의 비교  먼저 화두를 가지고 본각을 설명하기 위해 체(體), 상(相), 용(用)의 3실문(三實門)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체는 공(空)의 연기성인 실체(實體)로 나타낸다. 상은 가(假)의 연기적 현상으로 나타내 보이는 실상(實相)이고, 용은 실용(實用)으로 중도(中道)의 실제 쓰임(中道實用)을 설명한다. 하나 화두 실참은 스스로가 깨달아 알아차림을 체험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설명으로 가능하지 못하다. 다만 방편이나 비유로 설명을 할 뿐이다. 「기신론」에서는 체대, 상대, 용대 3대(三大)로 논하고 있다.  『대경』에 부처님께..

25방편 중 「행5법」에 관한 이해-천태지의 「지관수행」을 중심으로-

25방편 중 「행5법」에 관한 이해 -천태지의 「지관수행」을 중심으로- 금강대학교 대학원 수업레포트 통융 목 차 Ⅰ. 서론(序論) ............................................................................... 1 Ⅱ. 지관(止觀)수행의 「행5법(行五法)」에 대한 고찰(考察) ................... 2 1. 바른 뜻을 행하기 위한 욕(欲) ................................................. 3 2. 바르게 나아가는 힘 정진(精進) ......,........................................ 3 3. 바른 알아차림 염(念) ............................

『摩訶止觀』 음입계(陰入界)에서 역연대경수(歷緣對境修)에 대한 고찰(考察)

『摩訶止觀』 음입계(陰入界)에서 역연대경수(歷緣對境修)에 대한 고찰(考察) 금강대학교 대학원 수업레포트 통융 목 차 Ⅰ. 서론 Ⅱ. 음입계경(陰入界境)에서 역연대경(歷緣對境)에 대한 이해 .................. 2 1. 연(緣)에서 6작(六作)의 관행(觀行) ................................................ 3 1)역연(歷緣)의 십승관법(十乘觀法)) (1) 불가사의경(不可思議經) (2) 기자비심(起慈悲心) (3) 교안지관(巧安止觀) (4) 파법편(破法遍) (5) 식통색(識通塞) (6) 수도품(修道品) (7) 지차위(知次位) (8) 대치조개(對治助開) (9) 능안인(能安忍) (10)무법애(無法愛) 2. 경(境)에서 6진(六塵)의 관행(觀行) ...........

천태불교 자료

천태불교 자료 T09n0262 妙法蓮華經 ( 7 卷) 【姚秦 鳩摩羅什譯】 T09n0263 正法華經 ( 10 卷) 【西晉 竺法護譯】 T09n0264 添品妙法蓮華經 ( 7 卷) 【隋 闍那崛多共笈多譯】 T33n1716 妙法蓮華經玄義 ( 10 卷) 【隋 智顗說】 T33n1717 法華玄義釋籤 ( 20 卷) 【唐 湛然述】 T34n1718 妙法蓮華經文句 ( 10 卷) 【隋 智顗說】 T34n1719 法華文句記 ( 10 卷) 【唐 湛然述】 T34n1726 觀音玄義 ( 2 卷) 【隋 智顗說.灌頂記】 T34n1727 觀音玄義記 ( 4 卷) 【宋 知禮述】 T34n1728 觀音義疏 ( 2 卷) 【隋 智顗說.灌頂記】 T34n1729 觀音義疏記 ( 4 卷) 【宋 知禮述】 T37n1750 觀無量壽佛經疏 ( 1 卷) 【隋 智顗說】 T..

천태4교의

天台四教儀 天台四教儀集註 (選錄「集註」本文) 元 蒙潤集 第 002 卷 第 003 卷 第 004 卷 第 005 卷 第 006 卷 第 007 卷 第 008 卷 第 009 卷 第 010 卷 四教儀集註科 元 蒙潤排定 第 001 卷 四教儀集解 宋 從義撰 第 001 卷 第 002 卷 第 003 卷 이 책은 고려시대 고승인 체관(諦觀/ 900~975)이 천태사상을 집약하여 정리한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풀이한 것을 송나라 고승인 종의(從義/1042-1091)가 집해(集解)한 책으로 15세기에 금속활자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된 것이다. 인쇄 및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조선전기의 금속활자 연구 및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 四教儀備釋 元 元粹述 第 001 卷 第 002 卷 四教儀集註節義 清..

「적문10묘(迹門十妙)」와 「본문10묘(本門十妙)」의 비교 연구(硏究)

「적문10묘(迹門十妙)」와 「본문10묘(本門十妙)」의 비교 연구(硏究) -3실제(三實諦)을 중심으로- 금강대학교 대학원 수업레포트 통융 목 차 Ⅰ. 서론(序論) .............................................................................. 1 Ⅱ. 「적문10묘(跡門十妙)」와 「본문10묘(本門十妙)」의 비교 ................ 2 1. 자행화타(自行化他)에 3법(三法)과 3덕(三德) ............................... 4 2. 연화(蓮華)의 3묘개현(三妙開顯) ................................................. 5 3. 공가중(空假中)의 3제원융(三諦圓融) ............

천태법화 체계

천태법화 체계 대사는『법화경』의 문구를 해석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법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즉 인연석·약교석·본적석·관심석이다. 인연석이란, 부처와 중생의 감응인연에 기초하여 경문을 해석하는 방법입니다. 말하자면 가장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경전 해석법입니다. 다음에 약교석이란 경전의 문구를 장·통·별·원의 4로 해석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본적석이란 본문과 적문으로 해석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 제4 관심석은 공·가·중 이라는 관문의 입장에서 한 해석입니다. 따라서 경전의 문구를 자신의 체험에 기초하여 실천 규범을 나타낸 해석법입니다. 『법화문구』는『법화경』28품 구절을 이 네 가지 입장에서 해한 것입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법화경』문구 자체에 대한 해석이므로 28품의 전후관계..

10여시에 대한 고찰

『法華玄義』의 중 10여시(如是)에 대한 이해(理解) 금강대학교 대학원 수업레포트 통융 목 차 Ⅰ. 序論 1 Ⅱ. 「적문(跡門)」에서 경묘(境妙)의 10여시(如是) 2 1. 사취(四趣)의 10여시(如是) 3 2. 인천(人天)의 10여시(如是) 4 3. 2승(二承)의 10여시(如是) 5 4. 보살(菩薩)의 10여시(如是) 6 5. 불(佛)의 10여시(如是) 7 6. 연화(蓮華)의 10여시(十如是) 9 Ⅲ. 結論 11 12 Ⅰ. 序論 본 논고는 법화사상의 위상을 밝히고 있는 『법화현의(法華玄義)』에서 일체 모든 존재(諸法)의 실상(實相)을 설명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된, 10여시(十如時)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리불아. 다시 말할 것이 없느니라. 왜냐 하면 부처가 성취한 가장 희유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

경묘

1.색심불이(色心不二) 지금 현실의 자신에서 시작하라! 천태 十妙에 비롯된 十不二 묘법(妙法)은 고뇌에 허덕이는 사람들이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무너지지 않는 절대적 행복경애(幸福境涯)를 확립하고 있는 부처와 본래 본질적으로 같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고뇌의 현실을 타파하고, 환희 넘치는 자유로운 경애에 이르는 길을 가르쳐주고 있다. 이 묘법의 특징을 묘락대사(妙樂大師)는 열가지(十)의 불이(不二) (이것을 십불이문이라고 한다)로 정리해서 상세하게 논하고 있다. 십불이문은 천태대사(天台大師)가 《법화현의(法華玄義)》 제2권 상 (제33권 697쪽)에서 설한 것이다. 십묘(十妙)란 ① 경묘(境妙) ② 지묘(智妙) ③ 행묘(行妙) ④ 위묘(位妙) ⑤ 삼묘(三妙) ⑥ 관응묘(觀應妙) ⑦ 신통묘(神通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