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간화선) 집중수행

무문관48칙과 벽암록100칙

통융 2016. 6. 29. 20:24

無門關” 48칙의 화두를 하나하나 독파해 나간다.

 

'無門關'은 중국 송대의 무문혜개(無門慧開, 1183~1269) 선사가 1700여 칙()의 공안 가운데

가장 핵심이 되는 48개의 공안을 가려 화두 참구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여기에는 동시대를 함께 호흡했던 선배 선사들의 핵심 공안들도 포함되어 있다.

48칙 공안의 본칙(本則)과 평창(評唱), () 등의 원문을 읽고 해석하며

 

알쏭달쏭한 공안들을 하나하나 타파하는 것이 무문관 화두공부법이다.

때문에 무문관은 간화선 수행의 나침판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 중에는 제시한 답에 부합하는 착어를 禪林句集에서 골라내는

, 공부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도 거친다.

 

無門關 - 자세히

, 表文, 禪宗無門關

 

01) 1"조주구자 (趙州狗子)" 조주의 개

02) 2"백장야호 (百丈野狐)" 백장선사의 들 여우

03) 3"구지수지 (俱胝竪指)" 구지가 손가락을 세우다

04) 4"호자무수 (胡子無鬚)" 오랑캐에 수염 없다

05) 5"향엄상수 (香嚴上樹)" 향엄이 나무에 오르다

 

06) 6"세존염화 (世尊拈花)" 세존이 꽃을 드시다

07) 7"조주세발 (趙州洗鉢)" 조주가 발우를 씻다

08) 8"해중조차 (奚仲造車)" 해중이 수레를 만들다

09) 9"대통지승 (大通智勝)" 대통지승불

10) 10"청세고빈 (淸稅孤貧)" 청세는 외롭고 가난함

 

11) 11"주감암주 (州勘庵主)" 조주가 암주를 시험하다

12) 12"암환주인 (巖喚主人)" 서암이 주인공을 부르다

13) 13"덕산탁발 (德山托鉢)" 덕산의 탁발

14) 14"남전참묘 (南泉斬猫)" 남전이 고양이를 베다

15) 15"동산삼돈 (洞山三頓)" 동산의 삼돈방

 

16) 16"종선칠조 (鐘聲七條)" 종소리와 袈裟

17) 17"국사삼환 (國師三喚)" 국사가 세 번 부르다

18) 18"동산삼근 (洞山三斤)" 동산의 삼 세 근

19) 19"평삼시도 (平常是道)" 평상심이 이다

20) 20"대역량인 (大力量人)" 큰 역량 있는 사람

 

21) 21"운문시궐 (雲門屎橛)" 운문의 똥 막대기

22) 22"가섭찰간 (迦葉刹竿)" 가섭의 찰간

23) 23"불사선악 (不思善惡)" 선도 악도 생각하지 말라

24) 24"이각어언 (離脚語言)" 말을 떠나다

25) 25"삼좌설법 (三座說法)" 三座의 설법

 

26) 26"이승권렴 (二僧卷簾)" 두 중이 발을 말아 올리다

27) 27"부시심불 (不是心佛)" 마음도 부처도 아닌 것

28) 28"구향용담 (久響龍潭)" 용담이라 오래 울리다

29) 29"비풍비번 (非風非幡)" 동하는 것은 바람도 아니고 깃발도 아니다

30) 30"즉심즉불 (卽心卽佛)" 마음이 곧 부처이다

 

31) 31"조주감파 (趙州勘婆)" 조주 노파를 헤아리다

32) 32"외도문불 (外道問佛)" 외도가 부처에게 묻다

33) 33"비심비불 (非心非佛)" 마음도 아니며 부처도 아니다

34) 34"지부시도 (智不是道)" 지혜는 도가 아니다

35) 35"천녀이혼 (倩女離魂)" 천녀의 혼이 떠나다

 

36) 36"노봉달도 (路逢達道)" 길에서 달인을 만나다

37) 37"정전백수 (庭前柏樹)" 뜰 앞의 잣나무

38) 38"우과창령 (牛過窓櫺)" 소가 창살을 지나다

39) 39"운문화타 (雲門話墮)" 운문의 말이 떨어지다

40) 40"약도정병 (躍倒淨甁)" 정병을 걷어차다

 

41) 41"달마안심 (達磨安心)" 달마가 마음을 편안하게 하다

42) 42"여자출정 (女子出定)" 여자 정에서 깨어나다

43) 43"수산죽비 (首山竹篦)" 수산의 죽비

44) 44"파초주장 (芭蕉柱杖)" 파초의 주장자

45) 45"타시옥수 (他是何誰)" 그는 누구냐

 

46) 46"간두진보 (竿頭進步)" 장대 끝에서 앞으로 나가다

47) 47"도솔삼관 (兜率三關)" 도솔의 세 개의 關門

48) 48건봉일로 (乾峯一路)” 열반으로 가는 길

 

................

碧巖錄 과정

 

佛果圜悟禪師碧巖錄

重顯頌古 克勤評唱

碧巖錄序

參學嗣祖比丘 普照 謹序

紫陽山方回萬里序

玉岑休休居士聊城周馳書於錢唐觀橋寓舍

三教老人書

 

001達磨廓然無聖 - 달마대사와 양무제

002趙州至道無難 - 지극한 불도는 어려움이 없다

003馬大師不安 - 마조화상의 병환

004德山到潙山 - 덕산이 위산 화상을 참문하다

005雪峰盡大地 - 설봉의 온 대지

 

006雲門日日好日 - 운문의 날마다 좋은 날

007法眼慧超問佛 - 법안화상과 혜초스님

008翠巖夏末示衆 - 취암 화상의 눈썹

009趙州四門 - 조주화상과 사문(四門)

010睦州掠虛頭漢 - 목주화상과 사기꾼

 

011黃檗噇酒糟漢 - 황벽화상과 술찌꺼기 먹은놈

012洞山麻三斤 - 동산화상의 삼 세근

013巴陵銀椀盛雪 - 파릉화상과 제바종의 종지

014雲門對一說 - 운문화상의 대일설

015雲門倒一說 - 운문화상의 도일설

 

016鏡淸啐啄機 - 경청화상과 형편없는 수행자

017香林坐久成勞 - 향림화상과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의미

018忠國師無縫塔 - 혜충국사의 무봉탑

019俱胝只堅一指 - 구지화상의 한 손가락 법문

020龍牙西來無意 - 용아화상과 달마가 오신 뜻

 

021智門蓮花荷葉 - 지문화상과 연꽃

022雪峰鼈鼻蛇 - 설봉화상과 독사 이야기

023保福長慶遊山 - 보복화상과 산 봉우리

024鐵磨到潙山 - 유철마가 위산을 참문하다

025蓮花峰拈拄杖 - 연화봉 암주의 지팡이

 

026百丈大雄峰 - 백장화상과 기특(奇特)한 일

027雲門體露金風 - 운문화상과 가을바람에 진실 드러나다

028南泉不說底法 - 남전화상 설하지 않은 불법

029大隋劫火洞然 - 대수화상의 시방세계를 멸망시키는 불길

030趙州大蘿蔔頭 - 조주화상과 큰 무

 

031麻谷兩處振錫 - 마곡화상이 주장자를 흔들다

032定上座問臨濟 - 임제와 불법의 대의

033陳操看資福 - 자복화상의 일원상(一圓相)

034仰山不曾遊山 - 앙산화상이 산놀이를 묻다

035文殊前三三 - 무착과 오대산의 문수보살

 

036長沙遂落花回 - 장사 화상의 봄날 산놀이

037盤山三界無法 - 반산화상의 삼계 무법

038風穴祖師心印 - 풍혈화상과 조사의 마음

039雲門花藥欄 - 운문화상의 황금빛 털의 사자

040南泉一株花 - 남전화상과 육긍대부

 

041趙州大死底人 - 조주화상의 크게 죽은사람

042龐居士好雪片片 - 방거사와 눈 이야기

043洞山無寒暑 - 동산화상의 춥지도 덥지도 않은곳

044禾山解打鼓 - 화산화상의 북솜씨

045趙州萬法歸一 - 조주스님의 만법귀일

 

046鏡淸雨滴聲 - 경청스님의 빗방울 소리

047雲門六不收 - 운문의 법신

048王太傅煎茶 - 왕태부와 혜랑상좌의 차 이야기

049三聖透網金鱗 - 삼성화상과 황금빛 물고기

050雲門塵塵三昧 - 운문의 진진삼매

 

051雪峰是什麽 - 설봉화상과 두 스님

052趙州渡驢渡馬 - 조주의 돌다리

053白丈野鴨子 - 마조화상과 들오리

054雲門卻展兩手 - 운문화상의 어디서 왔는가

055道吾漸源弔慰 - 도오화상의 조문

 

056欽山一鏃破三關 - 흠산화상의 화살 일촉(一鏃)

057趙州田庫奴 - 조주화상과 간택하지 않음

058趙州分疎不下 - 조주화상과 지도무난(至道無難)의 함정

059趙州只這至道 - 조주화상과 지도무난(至道無難) 법문

060雲門拄杖化爲龍 - 운문화상의 주장자

 

061風穴若立一塵 - 풍혈화상의 한 티끌

062雲門秘在形山 - 운문화상과 하나의 보물(雲門一寶)

063南泉斬猫兒 - 남전화상과 고양이 살해사건

064趙州頭戴草鞋 - 조주화상이 짚신을 머리위에 올려놓다

065外道問佛 - 외도가 부처님께 질문하다

 

066巖頭黃巢過後 - 암두화상과 어디서 왔는가

067傅大士講經 - 부대사의 금강경강의

068仰山問三聖 - 앙산혜적화상과 삼성혜연화상

069南泉一圓相 - 남전화상과 일원상

070白丈倂卻咽喉 - 백장화상이 입과 목을 막고 말하게 하다

 

071白丈問五峰 - 백장화상이 오봉의 안목을 점검하다

072白丈問雲巖 - 백장화상이 운암의 안목을 점검하다

073馬祖四句百非 - 마조문하의 서당(西堂)과 백장(百丈)

074金牛飯桶 - 금우화상의 밥통

075烏臼屈棒 - 오구화상이 선법(禪法)을 묻다

 

076丹霞喫飯也未 - 단하화상이 어디서 왔는가 묻다

077雲門餬餠 - 운문화상의 호떡[餬餠]

078開士悟水因 - 보살(菩薩)이 목욕하며 깨닫다

079投子一切佛聲 - 투자화상과 부처의 소리

080趙州初生孩子 - 조주화상과 어린애의 육식(六識)

 

081藥山麈中麈 - 역산화상과 큰 사슴 사냥

082大龍堅固法身 - 대룡화상의 견고한 법신

083雲門古佛露柱 - 운문화상의 고불과 기둥

084維摩不二法門 - 유마거사의 불이법문

085桐峰庵主作虎聲 - 동봉화상과 호랑이

 

086雲門廚庫三門 - 운문화상의 광명(光明)

087雲門藥病相治 - 운문화상의 병()과 약()

088玄沙三種病 - 현사화상의 세 가지 병()

089運巖大悲千眼 - 관음보살의 천수천안(千手千眼)

090智門般若體 - 지문화상과 반야지혜의 본체

 

091鹽官犀牛扇子 - 염관화상과 무소뿔 부채

092世尊陞座 - 세존의 설법

093大光作舞 - 대광화상이 춤을 추다.

094楞嚴不見時 - 능엄경(楞嚴經)의 법문

095長慶二種語 - 장경화상과 여래(如來)의 말씀

 

096趙州三轉語 - 조주화상의 삼전어 법문

097金剛經罪業消滅 - 금강경의 설법

098天平兩錯 - 천평선사의 행각(行脚)

099肅宗十身調御 - 숙종황제의 십신조어

100巴陵吹毛劍 - 파릉화상의 취모검


'참선(간화선) 집중수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간화선(看話禪)의 수행   (0) 2016.10.11
간화선  (0) 2016.09.08
단전호흡법  (0) 2016.06.28
깨침을 일깨워 주는 四字法門---30개---月觀自證  (0) 2016.06.15
활안선사의 오도송과 일갈  (0) 2016.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