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공풍수

8운 현공풍수

통융 2014. 9. 1. 11:22

 

 

 

 

 

8()와 인체(人體)기관

 

九星

八卦

五行

인체부위, 기관(人體部位,器官)

주위(主位)

상관(相關)부위(部位)

상통(相通)부위(部位)

질병(疾病)

1

()

()고환,자궁

삼초,요도,항문,방광

불임,성병,신장병,수종,냉병

2

()

(),내장,지방,난소

소장,,식도(食道)

습진,수종,복장,설사,유산,

3

()

(),명문(命門)

성대(聲帶)

구토,갑상선농아,다리골절

4

()넓적다리

(),신경통계

대장,

정신이상,중풍,대머리,어지럼증

5

 

내장(內臟)

 

 

 

6

()

얼굴,,,(),

척추,

좌골신경통,삼치신경계,;진탕,중풍,폐병,

7

()

(),모피(毛皮),()

식도(食道)대장,인후,치아

해소,천식,요도염,치통,분가시

8

()

(),()()

관절(關節)척추골(脊椎骨)

구취,구토,관절염,탈구,위장병,좌골신경통

9

()

심장(心臟),

면상(面相),정신(精神)

동맥경화,발열,화상,눈병

 

 

 

星名(異名)

吉凶

性情

1白水

貪狼(아홀(牙笏),천희(),태신(胎神)

生旺

剋煞

 

神童,()(),智者

荊妻,酒色,癡聾(치농:어리석고 귀먹리),盜賊

2黑土

巨門(天醫,病符,寡宿)

生旺

剋煞

 

發財,人丁,忠臣.名醫

寡婦(과부),難産,형모(形貌),비천(鄙賤),복병(腹柄)악창(惡瘡)

3碧木

祿存(치우(蚩尤),적성(蹟星))

生旺

剋煞

 

財祿풍익,興家創業,人中之龍鳳

盜賊,暴躁(포조,사나움,성급)是非管送,瘡病,足病

4祿木

文曲(文昌)

生旺

剋煞

出才佳人,科甲聯芳,聯姻貴族(연인귀족),

風哮(풍효,천식),自縊(자액),飄蕩(표탕)

5黃土

廉貞(惡鬼, )

生旺

剋煞

奇人異土,富貴極品,

癡獃(치애,멍청이),酒亂,擁腫(옹종),橫禍死傷

6白金

武曲(청용)

生旺

剋煞

巨富,多丁,威權震世,無職勳貴,선행적덕

荊妻,孤獨,奢侈虛榮(사치허영)

7赤金

破軍(刑曜)

生旺

煞剋

發財旺丁,無職武任官,名之官

傷殘,橫禍官災,監獄口活,火災,盲啞,첩자파가,男盜

8白土

左輔(撌星,)

生旺

剋煞

孝義忠良,富貴錦遠,人壽

小口撌傷,臌脹(고창),黃腫(황종>부스럼),關節不利

9紫火

右弼(喜氣,紅鷲)

生旺

剋煞

文章科第 至,大儒,軍事家

火災,官司,吐血,瘋癲(풍전,미치광이),목병,腸炎,産死

 

 

12포태법(胞胎法)

 

A. 총론(總論)

 

생명체나 우주(宇宙)

생성되어 멸망해 가는 순환(循環)의 법칙으로

자연이 춘(), (), (), ()으로 순환하는 것처럼

사람역시 태어나고, 자라고, 왕성해지고, 쇠약해져서, 병들고 죽어가는 과정을

12운성(運星)으로 정하고 용(), (), (), (), ()

이기(理氣)까지 12운성(運星)을 이용해 체계적으로 설명한 법칙(法則)이다.

 

자연(自然)은 만물을 생육(生育)시키는 어머니와 같은 생명체이고 생명의 단위를

()으로 분류한다.

()

수구[水口=()]로 판단하며

()가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방(丙午方)에 있으면 수국(水局),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방(庚酉方)에 있으면 목국(木局)이고,

신술(辛戌), 건해(乾亥), 임자방(壬子方)에 있으면 화국(火局),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에 있으면 금국(金局)이다.

 

순환 법칙은 용()은 음기(陰氣)이니 시계 반대 방향으로 역행(逆行)하고,

(), (), ()은 양기(陽氣)이니 시계방향으로 순행한다.

 

12포태(胞胎)

()=(); 모든 형체가 절멸된 채 기조차 형성되지 못하고 쉬는 상태다.

(); 단단한 바위

(); 생명의 기운을 받고 있으나 외부적으로는 형태가 없는 것이다.

(); 무른 바위

(); 생명을 다 이루어 놓고 출생(出生)만 기다리는 상태다.

(); 까칠한 흙

장생(長生); 한 생명이 태어나는 것이니 경사스럽고 기쁜 일이다.

(); 견밀하고 고운 흙

목욕(沐浴); 태어나 보니 지저분한 것도 있는 유아기 때를 말한다.

(); 수맥이 흐르는 흙

관대(冠帶); 성년을 향해 자라나는 상태로 글도 배우고 문장도 익히는 소년기이다.

(); 연한 고운 흙

임관(臨官); 청년기에 해당하며 장원급제도 하고 결혼도 하며, 젊은 기상이 한껏

부풀어 오른 상태다.

(); 까끌한 흙

제왕(帝旺); 벼슬이 높아지고 재물도 많아지며 인생의 최고 전성기이다.

(); 견밀하고 고운 흙

(); 노년기로 접어든 시기로 비록 기운은 쇠했으나 경륜이 있어 후학을 지도 한다.

(); 산지(山地)= 돌이 많은 흙. 평지(平地)= 까칠한 흙

(); 기운이 쇠하여 병이든 것으로 젊은 날의 기상은 없어지고 죽을 날만 기다린다.

(); 무른 방위

(); 기운이 다하여 조용히 죽음에 이른다.

(); 단단한 바위

()=()=(); 모든 활동이 중지되고 다시 자연으로 되돌아간 상태다.

(); 단단한 바위

 

외울 때는 절태양생욕대관 왕쇠병사묘로 외운다.

좋은 것; (), 장생(長生), 관대(冠帶), 임관(臨官), 제왕(帝旺).

나쁜 것; (), (), (), 목욕(沐浴), [()], (), ().

 

 

 

음포태(陰胞胎)

 

 

()은 음기(陰氣)이니 시계 반대 방향으로 역행(逆行)한다.

 

 

양포태(陽胞胎)

 

 

(), (), ()은 양기(陽氣)이니 시계방향으로 순행(順行)한다.

 

城門이란?

 

본래 向宮의 좌.우측의 을 뜻하는데, 穴內가 들어가는 역할을 하는

세 가닥의 물이 모이는 곳

즉 오행의 생향방위를 말하며 內水出入口 또는 水口를 말한다.

현공풍수에서 水法에 대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성문과 성문결은 풍수향법 교안에는 없는 부분으로 현공풍수에서 좀 난해한 부분이다,

먼저 각궁의 음양을 알고

각궁의 자의를 숙지하고 낙서구궁의 구성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야 한다.

運盤(해당운수예성도 자백 구성)을 세운 후 당왕한 向宮에 수구 등이 있으면

旺氣가 되어 좋은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城門方十字路나 구불구불 굽어 들어 오는 길의 입구 .

혹은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한 문이나 來水 등이

있으면 運氣가 운성하게 번창하게 된다. 하천이 굽어지는 곳 ,

호수의 중심점, 저수지 등이 城門이 되면 좋고.

물이 내면을 감싸 돌면서 밝은 빛이 나면 더욱 좋아 大吉하다.

좌우의 兩宮 중에서 향궁과 생성이 되는 ,즉 하도

와 낙서의 선천생성수이 1.62.73.84.9이 되는 궁을 正馬라고 하여

正城宮이 되고,생성수를 이루지 못하고 성문의 偏格이 되면 借馬라고 하여 副城宮이 된다.

팔괘는 모두 24방향이므로 每卦는 각각 3方向이 되니 城門三元 중에서

同元이 되는 방위만 성문이 된다.

向方天元龍이면 양쪽의 성문을 모두 天元龍으로 ,人元龍이면 人元龍으로,

地元龍이면 양쪽 의 성문을 모두

지원용으로 택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야 좌향과 성문이 동일한 기운이 되면서

왕기를 순순히 받으므로 성문의 효력이 있다.

예를 들어, 離向을 세웠을 때 坤方巽方의 두곳 모두 城門方에 해당되지만, 죄측의 4巽宮4.9로생성수를 이루어 正格으로 正城宮이 되며, 우측의 2坤宮은 생성수를 이루지 못하고 성문의 편격으로 副城宮이 된다.

 

팔괘향의 정성방 부성방

 

八卦向 坎向 艮向 震向 巽向 離向 坤向 兌向 乾方

正城宮 乾方 震方 艮方 離方 巽方 兌方 坤方 坎方

副城宮 艮方 離方 離方 震方 坤方 離方 乾方 兌方

 

계속해서 離向 중에서도 壬山丙向이라면, 좌측의 4巽宮에 배속된 ..巳方 중에서도

同元辰方만이 正城門이 되고,우측의 2坤宮에 배속된 미..신방 중에서도 未方만이 副城門이 된다.

壬坐地元龍이니까 같은 地元龍에 해당되는 辰方未方만 성문에 해당되는 것이다.

 

성문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에 따라서 성문을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찾은 방위를 성문결이라고 한다,

성문결의 방위를 찾는 법은 운반을 작성한후, 정성궁과 부성궁의 숫자를 中宮에 넣고

해당 숫자가 이면 순행

시키고 이면 역행기켜서 , 성문궁에 이르는 숫자가 당운과 동일하면 성문결에 해당되고,

숫자가 동일하지 않으면 성문결에 해당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8子山午向일 경우에 성문결의 방위를 찾아보겠다.

먼저 정성궁과 부성궁을 찾아보면,향궁인 離宮은 좌.우궁 중에 4巽宮과 생성이 되므로

정성궁은 巽宮이 되고,

坤宮은 부성궁이 된다.巽宮의 진..사방 중에서도 같은 天元龍巽方만 정성문이 되고,

坤宮의 미..신방 중에서도 같은 천원용인 坤方副城門이 된다.

 

 

824산 음양도

 

--+---+

+735+

+681+

+-

--

+249+

+

-++---

 

 

 

城門法旺氣를 얻지 못할지라도 좌.우측의 旺氣를 얻으면 양방향에서

 

향을 補助하게 되어 衰氣旺氣

돌리는 借氣法이다.따라서 해당 일 때에는 보조가 되지만, 이 지나가면

 

退氣로 변하기 때문에 衰退하게 된다.

正向으로 놓을 때 황산왕향을 얻기가 불가능하면, 城門旺氣를 취하든지

 

겸향체괘를 써야 旺氣를 취할 수 있다.

음택은 물이 모이는 곳으로, 양택은 굽은 길이 들어오는 大門 등으로 城門訣을 사용하면

 

재운이 빠르게 온다.(김영건학위논문참조)

현공대괘 공망선

 

 

 

 

현공비성파에서 소공망, 대공망 등이 있듯이 대괘파에서도 모든 좋은 기운을 무력화시키는 공망선이 있습니다. 검증을 해보면 엄청한 폐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입향시 절대적으로 유의해야 할 점으로 분석됩니다.

 

大空亡: 지반정침 4(子午卯酉) 4(乾巽艮坤)의 정 중앙선은 兩儀 분계선임과 동시에 괘 분계선이므로 이를 일컬어 대공망선 또는 眞空亡線이라고 한다.

 

小空亡 : 지반정침 24分金線亥壬, 癸丑, 寅甲, 乙辰, 巳丙, 丁未, 庚申, 辛戌二山 사이에 있으면 이 역시 兩卦交界線, 陰陽分儀之界에 있으므로 이를 일컬어 龜甲空亡이라고 한다. 구갑공망은 현공비성파의 출괘(대공망)에 해당된다.

 

陰陽游離線 : 分金線이 현공대괘 외반 괘운수 16, 49, 27, 38, 67, 43 등이 서로 0.5도 이내로 근접할 때 이를 음양이 주재할 의사가 없다는 의미에서 음양유리선이라고 한다. 그러나 입향이 이 선으로부터 0.5도를 벗어나면 음양유희선에서 벗어난다.

 

納虛空亡線 : 64괘의 총 爻數384이다. 그러나 선천본괘(건곤감리진손태간) 낙서수에 乾天 9를 곱하여 합하면 周天360도가 도출된다. 그러나 효수가 384이므로 각 24효가 納虛空亡 爻가 된다. 예컨대 8운 왕산왕향인 , , 좌 가운데 화뢰서합 3(축좌), 천지비 초효(건좌), 화지진 5(해좌) 등은 왕산왕향임에도 불구하고 8운에서 왕산왕향 역할을 하지 못하는 納虛眞空亡線이다.

 

기타 유의사항: 입향 시 가능한 한 초효와 상효는 입향 효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잘못하면 정확한 라반이라도 공망을 범하기 쉽기 때문이다.

 

 

현공풍수의 衰旺表

1-9運別 衰旺表

氣運

退氣

吉氣

凶氣

補佐氣

旺氣

大吉

生氣

進氣

衰氣

小凶

死氣

大凶

殺氣

大凶

上元

1

9

1

2

3-4

6

5-

8

2

1

2

3

4

9

6

5-7

8

3

2

3

4

5

1

6

7-9

8

中元

4

3

4

5

6

2

7-9

1-

5

4

5

6

7

3

2

9

1-

6

5

6

7

4

9

2,3

1-

下元

7

6

7

8

9

5

4

2,3

1

8

7

8

9

6

2

3.4.5

9

8

9

2

7

6

3.4.5

 

旺氣

대문. 현관문을 내면 吉象

生氣

旺氣次善策으로 代用

進氣

生氣次善策으로 代用

退氣

조합수에 길흉이 상반된

衰氣

死氣

殺氣

제일 하다

補佐氣

후문,창문,계단,침대가 있으면 吉象

 

 

한 때는 旺盛한 기운도 시기가 지나면 衰退하기 마련이다. 玄空風水에서는 운에 따라 <길기>旺氣,生氣,眞氣가 있고 <退氣>도 있고 凶氣에 속하는 殺氣,死氣,衰氣가 있다.

(1)예를 들어 8當運8자는 旺氣가되어 해당 방위에 먼저 산수가 합국으로 되어 있고 산수가 보기에 좋으면 大吉하다. 산수의 遠近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發福이 빠르고 멀면 멀수록 발복이 느리다. 산수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발복의 영향력도 크고 작으면 작을수록 영향력도 작아진다.

(2)8에 차기수인 9자는 <生氣>가 되어 해당 방위에 산수가 합국으로 되어 있고 山水가 보기에 좋으면 하다. 다만 차기는 9자는 次期運에 해당 되므로 약간의 거리를 두고 있어야 제격이다.

(3)81자는 차차운에 해당되어 일명 <進氣>라고하며 비교적 시기적으로 멀기 때문에 해당방위에 有情遠山遠水가 멀리 있으면 작용력이 약하지만 한 기운이 있다. 8운이 되면 進氣生氣가 되고,1운에는 旺氣가된다.

하지 않는 숫자의 方位에는 산이나 물이 없는 것이 제일 좋고 멀리 있으면 이 아니다. 해당 方位에 산이나 물이 보이지 않으면 즉 작용할 대상이 없으므로 한 작용도 없는 것이다.

 

현공풍수의 하괘와 체괘

 

풍수지리에 이런 말이 있다.

아장출왕후 타장출적구(我葬出王侯 他葬出賊寇: 내가 를 쓰면 왕후가 나오고, 다른 사람이 를 쓰면 도적이 나온다.

자칫하면 묘를 쓰기 위한 수단으로 지어낸 말처럼 오해의 소지가 있는 말이다.

같은 지점, 같은 시간에 내가 묘를 쓰는 것과 다른 지관이 용사하는데 차이가 있다면 얼마나 차이가 있겠는가?

그러나 그렇지 않다.

8운의 예를 들어 辰坐戌向(下卦)用事를 하면 上山下水가 되어 정재양패(丁財兩敗)한다.

그런데 替卦로 좌향을 조금만 돌려 놓으면 旺山旺向은 기본이고 연주삼반괘까지 된다. 불과 몇 도의 차이로 길흉은 천양지차로 달라진다.

 

 

현공풍수에서는 기존의 풍수법과는 전혀 달리 24좌마다 하괘(下卦)와 체괘(替卦)로 나눈다고 하였다. 1개좌의 범위인 15도 중에서 중앙의 9도를 제외한 양변의 6도 범위 안에서 좌향을 놓으면 체괘가 된다.

같은 좌향이라도 하괘의 좌향과 체괘의 좌향에 따라 택명반이 같은 경우도 있지만, 완전히 다른 경우도 있다.

체괘를 산출하는 방법은 당시에 비중지비(秘中之秘)이었다. 강요(姜垚)가 스승인 장대홍(蔣大鴻)선생에게 체괘구결(替卦口訣)을 전수받고 당시에 거금 二千金으로 보답했다는 이야기가 강요선생이 지은종사수필(從師隨筆)에 나온다.

강선생은 장대홍 선생에게 체괘구결을 얻은 후에 청낭오어(靑囊奧語)의 비밀을 이해하게 되었고 주석도 달게 되었다고 전한다.

하괘가 정법(正法)이라면 체괘는 편법(便法)이기 때문에 특수한 상황이나 불가피한 경우에만 사용하는 방법이다.

체괘를 산출하는 방법은 현공풍수고전인 양균송의 청낭오어(靑囊奧語)에 나오지만 난해하여 장대홍(蔣大鴻)선생이 강요(姜垚)에게 전수해준 구결(口訣)로 체괘의 비밀을 알아보자.

장대홍선생의 체괘구결불과 50자에 불과하다.

子癸並甲申 貪狼一路行 (자계병갑신 탐랑일로행)

酉辛丑艮丙 天星說破軍 (유신축간병 천성설파군)

壬卯乙未坤 五位爲巨門 (임묘을미곤 오위위거문)

寅午庚丁上 右弼四星臨 (인오경정상 우필사성림)

乾亥辰巽巳 連戌武曲名 (건해진손사 연술무곡명)

구결을 풀이하면

,,,貪狼(1),

,,,,破軍(7),

,,,,巨門(2),

,,,右弼(9),

,,,,,武曲(6)으로 숫자만 바뀌는데 음양은 바뀌지 않는다.

1-924좌향을 하괘의 수와 체괘의 수를 정리를 하면 다음 <>와 같다.

下卦數替卦數

下卦

替卦

備考

下卦

替卦

備考

+1

+2

~

+9

+7

~

-1

-1

 

-9

-9

 

-1

-1

 

-9

-9

 

-8

-7

~

-2

-2

 

+8

+7

~

+2

+2

 

+8

+9

~

+2

+1

~

+3

-1

~

+7

+9

~

-3

-2

 

-7

-7

 

-3

-2

 

-7

=7

 

-4

-6

 

-6

-6

 

+4

+6

 

+6

+6

 

+4

+6

 

+6

+6

 

 

 

구성수(九星數)

1탐랑(貪狼),2거문(巨門),3녹존(祿存),4문곡(文曲),5염정(廉貞), 6무곡(武曲), 7파군(破軍),8좌보(左輔),9우필(右弼).

형기(形氣)-()()()(), 이기(理氣)-()

1, ()()득수(得水),

()-旺山旺向(), 雙星會向(),

雙星會座(앞들뒤), 上山下水()

*星山은 인걸, 財物

왕산향-,,,,,(축좌미향-120,미좌축향-60)

쌍성회()-,,,,,(자좌,계좌-160,묘좌을좌-80,병좌-20,경좌-100)

쌍성회좌-,,,,,(오좌자향-140),영업장-경좌갑향-100,유좌묘향,묘좌유향-80)

상산하수-,,,,,(진좌술향-160,술좌진향-20)

 

2,內堂(발복시기),外堂(크고작음)

3,逆水東西水, 서남향에 산보다 陽光水, 九曲水

*泃水論 - 金星水-원형의 옥대 富貴雙全, 木星水-안산사이로 직선수 함은 있으나 는없다. 水星水-九曲水 방위 논하지 않는다. 당대에 富貴權勢와 벼슬, 土星水-직선으로 굽어흐른다 단정하며 기울지 않으며 仁情富貴를 겸하고 名聲을 대대로 얻는다. 火星水-마름모서리형 인성이 오만강폭 급하게 성공하나 실패하면 잿더미만 남는다.

*眞應水-혈앞에 고인물(一堂旺氣發田場열에아홉은 부귀하고 곡식이 창고에 가득함)

*暗拱水-보이지 않으나 안산너머에 큰 강이 흐른다(강직한 부자,벼슬정승에 오르며 오래번성)

*入口水 -혈로 들어오는 물이 용호 어느 한쪽에 거구로 흘러가는 것(발복 가장 빠르다)

*聚面水-앞쪽에 모여들어 완만하게 흘러가면 자손만대번창

 

4,,강이 배반하는 것을 조심

*路針殺- T자나 길 끝에 집 *路弓殺- 길이 활처럼 휘어진 끝부분에 있는 집

*尖角殺-대문이나 창문에서 볼 때 뽀족한 모서리가 보이는 터

*懸針殺-철탑 전못대등의 첨탑살 *陽光殺-햇빛에 비치는 방해살,

*門衝殺-맞보는 문살

 

5,흉화방과 복덕방을 체크하라. 도로의 흉살을 보완하라

 

 

'현공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택풍수에서 지형분석을 할 때 살(煞)의 구분  (0) 2014.09.02
답산요령  (0) 2014.09.02
현공풍수  (0) 2014.09.01
형기풍수  (0) 2014.08.30
풍수1  (0) 201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