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공풍수

현공풍수

통융 2014. 9. 1. 11:10

 

 

 

현공사국"(玄空四局)"왕산왕향(旺山旺向)| 실전경영풍수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배산임수"와 같은말이며 현공에서는 왕산왕향이라고 부릅

   

1,왕산왕향 :건죄 해좌 축좌 미좌 사좌 손좌

그림과 같이 산을 등지고 물을 마주 향한 "정국"(正局)으로 "산용격"(山龍格)에 사용됩니다.

네가지 격국중에 가장 좋으며 전면에 물의 양이 많을수록 재물의 규모가 커집니다.

당연히 물은 낮은 도로 로도 볼수있으며 도로의 통행량 하고도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물의 색이 탁하면 재물도 탁하다고 봅니다.

뒤쪽의 산도 높고 웅장하면 집안에 큰 인물이 난다고 볼수있습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산이 들여다보는 형상이나 깍아지른듯한 모양등은 흉상으로 봅니다.

그리고 이국은 양택,음택 모두 사용가능 합니다.

 

2,쌍성회향 : 자좌 계좌 묘좌 을좌 병좌 경좌

두개의 국은 정반대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쌍성회향은 앞에 물이있고 또다시 산이 있는 경우이고 후면은 산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평지가 더욱 좋습니다 음택도 가능하지만 양택에 더 맞는 구조입니다.

뒷부분은 큰 주차장 앞으로는 물과 산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양택에는 아주좋은 입지 조건입니다.

3,쌍성회좌 :임좌 갑좌 오좌 정좌 유좌 신좌

는 반대로 전면이 평지 후면은 물과 다음으로 산이 되는 구조입니다.

거의 앞부분은 큰 주차장인 경우가 많습니다.

후일에 다시 이야기 하겠지만 요즘 업장에서는 주차장이 매출과 정비례하며 꼭필요합니다.

도심이라도 주차장이 없는곳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4,상산하수 :간좌 곤좌 인좌 신좌 진좌 술좌

자세하게 살펴보면 집의 대문이 전면의 산을 보고있고 집의 뒤로 물이있는 매우 독특한 구조 입니다.

 

다른 풍수에는 없는 구조로 무덤으로는 사용할수 없고 주거지나 영업장(양택)으로만 사용가능 합니다. 실제로 강변의 카페나 식당으로 성업중인 업장이 많습니다.

창밖으로 탁트인 시야로 매우좋으며 실제 거래에서도 땅의 가격이 매우 비쌉니다.

다른 풍수에 없는 매우독특한 구조이나 앞에서 보았던 왕산왕향 구조보다는 발복이 양적으로는 작습니다.

 

 풍수고서에 고일촌위산(高一寸爲山)저일촌위수(低一寸爲水)라고 전해집니다.

 

한치만 높아도 산이고 한치만 낮아도 물이라는 말로써 과장된 표현이 아니라 매우 정확한 표현입니다. 꼭 산이 있어야 산이 아니고 꼭 물이 있어야 물이 아니라 건축물이나 무덤을 기준으로 높으면 산으로 보고 낮으면 물로 보아야 합니다.

 

양택에서 주변 건축물을 산으로보며 도로를 물로 간주 할수 있습니다.

이는 얼마든지 지형이 바뀔수 있음을 의미 합니다.

음택: () 산 언덕 흙더미 고압선철탑 고층건물 돌다리 큰나무 .평지에서 일미터 이상되는 지대물() 바다 강 호수 도랑 건류(비가오면 물이흐르는 물) 샘 저수지 연못 골짜기 ,일미터 이하의 도로

 

양택: () 사당 신위 침대 탁자 주방 가스렌지 큰나무 담장 등

() 대문 통로 복도 우물 창문 통풍구 하수구 도로교차로 화장실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현공사국(玄空四局)을 배우기에 앞서 오늘은 형기적 풍수용어를 살펴 보겠습니다. 지금 설명하는 글은 현공풍수 인테리어에서 발최 하였습니다.

 

태조산(太祖山): 혈지점(穴場)의 배후 산맥이 시작되는 봉우리

소조산(少祖山): 태조산 앞의 돌출된 어느 한 산봉우리

주산(主山): 소조산앞 , 혈장뒤에 위치한 주봉(主峰) 다른말로 "현무"(玄武)라고함

청용(靑龍): 혈장 왼쪽의 산봉우리나 산언덕 "좌사"(左砂)또는 "좌보"(左補)라고함 사람의 왼팔에 해당

백호(白虎): 혈장의 오른쪽 산봉우리나 산언덕 "우사(右砂)또는 "우필(右弼)이라고함 사람의 오른팔에 해당

호산(護山): 청룡,백호의 바깥쪽에 있는 산봉우리나 산언덕 ""() ""() "외전(外纏)이라고도 함 관은 선명하고 두드러지고 앞에 있는것 요는 어렴풋하여 잘 보이지 않으며 낮은것

안산(案山): 혈장 앞의 물()이나 빈터를 사이에둔 산봉우리나 산언덕 청룡 백호 호산에서 뻗 어 내려 왔거나 독립적으로 생긴것도 포함

조산(朝山): 혈구앞의 물이나 안산 너머로 멀리 보이는 산봉우리 "문필"(文筆),"필가(筆架)등 명칭이 있으며 형태에 따라 다르게 말함

용맥(龍脈): 태조산 소조산 주산을 연결하는 산맥 용맥은 건물로 대신 하기도 한다

  

* 형기풍수중 "노충살"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T자형이나 J자 가 기본이데 그냥 막다른 일자형 도로도 가능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위쪽에 있는 집이 노충에 해당 합니다.

 

아래에서 위쪽으로의 교통(자동차,오토바이,사람이나동물의통행)이 빈번할수록 더 강하게 작용하고 만일 골목이라도 전면도로 좌우의 건물이나 담이 높으면 흉작용이 더 강해 집니다.

 

흉작용으로 그 집에 거주하거나 영업장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교통사고,질병,재산손실이 예상됩니다.

 

이런 자리는 비보풍수로 막을 수도 있으나 그러한 방법은 차선책이고 가장좋은 방법은 이사를 하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충기낙궁무가보(衝起樂宮無價寶)는 노충살이 왕기(旺氣)일때에는 벼락부자가 되며 노충(路沖)이나 창살(槍殺)도 두려워 하지 않는다.(8운에는 向이8일때)

 

#형기풍수:땅이나 물 지세등으로 판단하는 모든풍수의 기본이되는 풍수

 

#이기풍수:주어진 환경에서 풍수가의 역량으로 사용가능 하게하는 기술

 

나경(패철,나침판)과 엘로드(기를 탐지하는 ""자로 구부러진 금속체)심룡척(엘로드와 비슷한기능)지맥탐사봉(주로 버드나무)등의 사용이 필수적이다(사람에따라 사용 안함)

 

#비보풍수:가짜로 산을 만들거나 물을 파거나 하여 악지를 길지로 바꾸는 진보된 풍수

 

풍수가에 따라 쓰는 기술이 상이하다.

 

이번 순서는 "노궁살"(路弓殺)입니다. 다른말로 "가도반궁"(街道反弓)이라고도 합니다.

  

예로부터 지형에 따라 생긴(자연발생 또는 인위적)도로(또는 물) 들이 여러가지 흉()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노궁살"의경우 가족구성원의 음란,고독 ,질병,정서불안,우울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제가 직접본 경우는 여주인의 암으로 인한 사망과 차가 직접 돌진하여 집이 완파된 일입니다.

 

과학적으로도 원심력으로 방향을 제어를 못해서 차가 방향을 이탈 하거나 소음과 먼지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의 흐름이 한방향으로 집중 되는게 더욱 큰 문제입니다.

 

당연히 구부러짐이 크고 교통량이 많고 속도가 빠르다면 더흉하며 구부러진 한쪽이나 양쪽에 전신주나 고목이 있다면 더욱 흉작용이 강해집니다.

 

활에 화살이 당겨져 있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릅니다. 모 티비 프로그램의 흉가체험에서 나온 집이 "노궁살"에 고목(성황당)이 있는 경우도 본적이 있습니다.

 

이경우 비보풍수로 막는 방법은 "가산"(假山)을 올리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더이상 방법이 없을때 사용하고 최우선적으로 이사를 생각 해야 합니다.

 

이 지형에는 절대로 건물을 신축하면 않되며 이미 건물이 있었고 후에 길이 생기는 경우에도 사용을 하지말아야 합니다.

 

요즘은 토목기술의 발달로 도로가 집보다 높거나 지붕 높이의 도로가 있을수 있는데 이것을 "겸도살"이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첨각살(尖角煞)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형태가 기본이고 여러가지 변형된 상태가 있습니다 (방향,위치,각의예리함)

 

그림과 같이 다른 건축물이나 구조물이 예각을 형성하여 거주하고 있거나 영업정으로 사용하는

 

곳을 향해 나쁜 기운을 쏘고 있는 형국 입니다.

 

방향은 대문 정면이 가장 나쁘고 각은 90도 이하의예각이 흉합니다.(예리할수록 흉함)

 

대문 뿐만 아니라 창문도 흉한데 그래도 창문보다는 덜 흉합니다.

 

상가나 주택 모두 대문은 매우 중요하며 후일 영업장 보는법을 실제로 설명할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것은 대문의 좌향(방향)인데 이에따라 강하게 길흉이 달라지며 성패의 80%는 여기에 있습니다.

 

대문의 방향으로 성패를 아는건 풍수가들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기술입니다.

 

방법은 풍수가에 따라 매우 상이 합니다.(삼합파,현공파 등)

 

첨각살이 작용하면 그곳에 있는 사람들은 흉액에 시달리는데 대게의경우 질병과 교통사고가

 

대표적 입니다. 질병도 피를 보는경우(외과수술)가 많습니다.

 

첨각살은 출혈과 통증을 동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이러한 집에 세들어 살아보았는데

 

교통사고를 당하였습니다.

 

#대문: 기구(氣口)라고도 하며 크기,방향,모양,이 매우 중요 하고 사업장의 성패의 80%를 차지 한다

 

뒤족의 산이나 건축물이 앞쪽에 있는 건물을 들여다 보는 형상에 대하여 설명 하겠습니다.

 

자료 사진은 없으나 제가 아주 가깝게 지내던 분이 경영 하시던 식당의 주인이 정신이 불안(외로움)으로 과음 하여서 간경화로 사망하신 일이 있었습니다. 산의 뒷부분을 깍아내고 앞쪽으로 지은 집이었는데 산의 토질이 고운 마사토여서 비가온 후에 아래쪽 일부가 무너져서 흙이 약간 흘러 내린 모양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형기적으로 매우꺼리는 형상입니다.

 

우울증 ,정신불안이 대표적으로 거주나 영업을 해서는 않됩니다.

 

그러나 이를 역이용(비보풍수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예를들면 예전 일제강점기때 일제가 우리나라의 기(국운)를 꺽기 위해 일본의 풍수가를 대거 투입하여 우리나라의 산천에 쇠말뚝이나 자연지형을 파괴 또는 이동시킨 일은 우리국민 이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사실 입니다.

 

이와같은 경우로 건축물을 이용 하기도 하는데 서울 상공에서 보았을때 "대일본"(大日本) 이라는

 

자연지형과 건축물로 글자를 만들기도 했습니다.(우연이라고 주장하는 분도 있습니다)

 

()자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북악산과 지금은 없어진 조선총독부 건물이 일()의 모양이고

 

 

그리고 경성부청(구 서울시청)"()자의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같은 내용은 일부 매스컴에서 보도 되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근래에 와서 총독부 건물은 철거되었고 서울 시청은 오늘 설명하는 뒤에서 들여다보는 형상으로 그 ""()를 압도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보기에 "우연"이라기 에는 너무나도 풍수(비보)적으로 너무 정확하게 사용 하였습니다.

 

근거는 없으나 아마도 풍수가의 도움이 있지 않았나 추측해 봅니다.풍수적으로 큰 건물들이 주변의 형기와 일치 하거나 비보 풍수를 사용한 흔적이 많이 있어 현대의 많은 기업들이 비밀리에 풍수가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추측해 봅니다.

  

 

차후에 설명이 있을 예정이지만 미리하나 소개하자면 "맹호개구"(猛虎開口) 형태의 건물 입니다.

 

서울 중앙 우체국이며 앞쪽의 건물에서오는 나쁜 기운을 막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건물의 형태를

 

이와같이 만들어 흉을 방지한(비보풍수) "" 입니다.

 이 부분은 사주에서 신살인 현침살(懸針殺)과는 구분해야 합니다.

 

풍수에서의 현침살은 영업장이나 거주하는 주변에 있는 구조물이나 자연지형(뾰족한모양),나무이 집 주변에 있는 경우 입니다.

 

크기에 클수록 흉하며 대문 정면은 더욱 흉합니다.보통 건축물의 뒤쪽 부분이 높아져야할 경우나 옆부분의 보강이 필요할 경우 에 1미터나 약간크고 겉으로 보아서 둥근 느낌의 나무를 대문 정면을 피해서 심기도 합니다.

특히 고압의 전기를 이동시키는 고압 송전탑은 아주 좋지 않습니다.

정확하게 기억은 않나지만 송전탑 주변은 백혈병이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눈에서 보이지 않을 거리는 떨어져야 흉작용을 피할수 있습니다.

 

가정이나 영업장 인근의 작은 전신주나 나무는 정면(대문)에서 보이면 이식하거나 가능하면 이동 하는게 바람직 합니다.

 

흉작용으로는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사고,병액을 부르며 특히 수술이 필요한 질병 입니다.

 

비보풍수 에서 전신주나 나무에 싸리나무나 왕골로 보이지 않게 둘러싸는 방법(통기.通氣)도 있으나 이는 차선책이고 이동시키거나 이사가 가장 좋습니다.

 

#고일촌위산 저일촌위수(高一寸爲山,低一寸爲水):한치만높아도 산이고 , 한치만 낮아도 물이다.

 

:사람,인물,학업

 

: 금전,재산

 

) 산에서 도를 닦는 사람이 사방이 건축물보다 낮으면 물질이 풍부 해져서 도와는 멀어진다. 그러므로 도가 목적이라면 건축물보다 주변이 막혀 높은것이 바람직 하다.(주변상황에 따라 다름)

 

우리는 살다보면 자의던지 타의던지 좋지 않은 환경에 노출되는 때가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지형으로는 "귀혼직충" (鬼魂直衝)입니다.

 

자료 사진은 적철치 않으나 사당의 사진을 올렸습니다.

 

귀혼직충은 건물의 정면으로 무덤,교회,사당,,화장터 등이 보이는 형태 입니다.

 

특히 사당이나 무덤등의 대문과 내가 영업을 하거나 거주하는 곳의 대문이 정면으로 마주하면 더욱 흉합니다.

 

사당이나 무덤은 귀신이 드나드는 통로 이므로 흉작용 으로는 귀신에 빙의 되거나 이유없이 아프고 사고까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비보로 가산(假山)으로 막거나 거주지 입구에 불을 켜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차선책이고 최우선은 이사 입니다.

 

 

 

 

 

 

 

 

'현공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택풍수에서 지형분석을 할 때 살(煞)의 구분  (0) 2014.09.02
답산요령  (0) 2014.09.02
8운 현공풍수  (0) 2014.09.01
형기풍수  (0) 2014.08.30
풍수1  (0) 201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