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공풍수

풍수1

통융 2014. 8. 30. 11:04

*풍수(風水)학이란?

인류는 탈빈(脫貧=가난을 탈피하는 것)역사다. 결국 인간은 부를 취하기위해서 곳을 찾는데 어떤 곳을 찾아야 하는 것이 최고의 관건이고 장소를 고르고 안착하는 이론이 풍수학이다.즉 자연의 환경 속에 어떻게 하면 인간이 안락하게 살아갈 수 있을까? 결국 자연의 이치를 바로 알고 활용하는 것인데 이것을 풍수라 한다.

즉 풍수지리학이란 풍기(風氣)수기(水氣) 지기(地氣)천기(天氣)를 잘 다룬 것 사람들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풍수는 장풍득수지학(藏風得水之學)이다. 구빈철학(救貧哲學)이다. 음양(陰陽)학이다.방향(方向)론이며 득생기(得生氣)학이다.

크게 두가지로 구분하여

*형기(形氣)론- 삼화두타스님의 달승문답(達僧問答)_천원일기우형론(자연의 형세로 판단한다)

*이기(理氣)론-청나라 석구승(葉구승)이 쓴 책-이기사결,지리육경,라경발무지(음양오행으로 판단한다)

경험-지식-계파에 학문적으로 구분 한나라 말기 때 풍수의 최초서인 <청오경(靑烏經)>에서 진(晋)나라 곽박에 의해서 장경(藏經) 저서(장자는 생기를 타는 것이다.)

<산양지미>는 명나라 주경일 書 ,<감영록> <의령경> <지리강목> 양구빈선생의 <감륜경>이 산맥과 혈자리를 알게 한 것이다.

하버드대 중국인 박창륜이 풍수학으로 박사학위 받았다. 65년경 한국 책이 50여종이 수록되어있다.

중국책인 지리강목(산양지미,감륜경,의령경) 이리승 이의신(북산론), 박상희 등이 있으나 술사들은 사람같이 않으면 전하지 마라고 하였다.

현재풍수의 많이 활용하고 있는 비보풍수 자생풍수 등은 부족함이 많다. 후한서에 2000년 역사 청오경이 나왔지만 부족한 점이 많다.

천조지설...장공보결(하늘이 땅이 잘 만들었지만 부족한 것은 인공으로 보결하라)

(금강찬)이 땅을 보결하는 책이다.

감륜경, 의령경, 산양지미(명나라초에 주경일이 씀-오씨문중에 ‘인문우기‘했다.)도를 닦으로 가면서 써 놓은 책이 산양지미이다-평야혈을 보는데는 최고다.

우리나라에 풍수는 어떻게 보급되는가를 보면

의술 ,점술 ,풍술(醫術 ,卜術 ,風術 )이 학술이 형성된다. 학과 술은 양날개이다. 조선시대는 학만 숭상 술이 퇴보 되었다.의학도 의술,복술,풍수술 싱지인가에 있어서 가장 실학은 의복풍 3대 실학이다.

조선 때 양반이 4대를 과거 급제하지 못하면 상인으로 신분 하락된다.

양반이 상인으로 하락할 때를 그것이 상놈이라고 한다.

의관, 일관(날잡고 출행 등 보는 것),지관= 3관을 뽑았다. 오늘날 까지 지관이라 하는 것도 이때 부터이다. 지관을 멸시하면서 자기집이나 산소는 귀를 쫑긋하는 양면성이 있다.

당시 과거에 감륜경 의령경 영산록 손감요결 등의 지관시험 과목이며 다 외워야 한다.

풍수 길흉에 따라 후손이 배출되는데 한국인은 그렇지 않다.

진백경이라는 사람이 소나 사람에게 군자처럼 했으나 산소가 무슨 필요한 것이냐 하면서 산꼭대기에다 시원한 바람 쏘이게 한다고 산꼭대기에 썼다, 그러다가 사위를 얻었는데 사위가 큰 죄를 지어서 3족이 망했다. 즉 인품과 양심적 삶도 풍수인 땅의 자리는 별개의 기운이 있다.

친일파가 다 살아나고 독립후손은 왜 멸하느냐면 친일파가 조상들을 명당에 썼기 때문이다.

*玄空風水(현공풍수)

청나라 때 유행했다. 한국은 2000년도 장태상의 풍수총론에서 현공풍수가 들어왔다.

玄-天, 空-地 주역(周易) 곤위지(坤位地)에-----천지의 운행은 시간과 공간을 시운(時運)이라 한다고 했다.

시(時)는 명(命), 운(運)의 계약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曠野(광야)-들판에 집을 짓는 것

山宅(산택)-우리나라 같은 산세에

都會(도회)-현 도시에서 집을 짓는 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알아보는 풍수이다.

*현공은 주역(周易)의 낙서(洛書)에 나오는 구궁도(九宮圖)를 알아야 한다. 지구의 지운은 20년마다 바뀐다.

9궁*20=180년에 1원이다.*삼원구운 구궁도( 1궁은 20년 씩)

*3운에는 2차 전쟁, 7운에는 돈전쟁(1984-2003년),龍蛇起陸(용사기육-낮은데가 높이 올라간다)

주역의 384운을 推數(추수)라 하는데 이러한 운에 따라 움직인다.

*풍수는- 양생송사지도(養生送死之道-잘 낳아서 키우고 보내주는 것이다 ) 藏風得水-생기를 흩어지기 않게 하기위해서 장풍하는 것이다. 완요,보효(효사상)사상이다. 인문과학이고 지구과학이다.

* 양택

* 황재택경(皇帝宅經=풍수의 총서)에 인인택이립‘人因宅而立‘ 사람은 반드시 집으로 인해서 일어선다.

양택은 운기(주역의 향기운)를 알아야 한다.

*부자는 전생에 좋은 업을 많이 지어서 영대가 발달되어 있다.

*장풍득수(藏風得水) 바람은 막고 물은 들게 한다. 생기를 흩어지기 않게 하기위해서 장풍하는 것이다. 완요,보효(효사상)사상이다

*배산임수(背山臨水), 뒤는 높고 산으로 둘러 싸여있고 앞은 물이 감아 흐르는 것, 역배산임수(뒤가 낮고 앞이 높으면)자식이 속을 썩인다. 돈이없다

*동서수(동에서 서로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물)가 있어야 한다. *역수가 있어야 한다.

*구곡수(구불구불한 물)와 서남쪽의 양광수는 당대만석 한다.

*직수(곧게 내려 흐르는 물)는 가난을 면치 못한다. 골살이 제일 나쁘다.

*대수양수(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는 물)는 무지지기다.-청오경 바닷물과 교차 는 좋다.

*명(名)당은 명당(明堂)이 있어야 한다.(명당은 음택은 작아도 되지만 양택은 커도 된다.)

명당에는 내외가 있는데 내명당은 발복의 느리고 빠름을 주관하고 외명당은 발복의 크고 작음을 주관한다(明堂有內有外. 內則主發祿之遲速. 外則主發祿之大小)고 했다.

*풍탕산(앞이 트여 막아주는 산이 없는 것, 바다 평지 등)- 앞이 허한 것은 자손이 끊어진다.

*왕산왕향(旺山旺向)- 축좌 건좌 해좌 가 좋다. 팔운에는 해좌사향, 건좌손향, 축좌미향이 왕산왕향이다.

* 공망은 텅빈것 처럼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 무료하고 대공망(진손사병중에 사병중간),

공망(空亡)은 향과 향사이로 방향이 없는 것은 공망이다.

우선수에는 좌선용이 오고 좌선수에는 우선용이 와야하는 음양햑이다.

*逆水(역수)을 발견한다.=內堂水에 東西水가 있어야 수도(首都)가 된다.

천하수(빗물)는 생명수(내당수)가 역으로 흘러야 부자가 된다.

*내당(內堂)은 현무(玄武)수가 더 좋다 감싸주는 것 넘어서 보이는

* 내당수가 내 돈이고 앞에 큰 강은 은행에 있는 돈이다

역배산임수는 산을 바라보고 있는데(남호선호사상)- 돈이 많아도 자식이 현명치 못하다 가외를 해도 허사다.

*물은 반드시 과당(집앞)을 지나야하고 내당수는 역수여야 한다.

역수가 태극일 때 돈이 모인다. 구곡과 완만해야 좋고, 직수나 급수는 살이 되어 흉하다.

*병은 지기(地氣)와 천기(天氣)에 의해서 병이 났는다. 공기가 좋은 것만은 아니다.

*봉우리처럼(묘봉 같은 모양) 생긴 곳에 집을 지으면 물이 양쪽으로 갈라지는 것은 가장 나쁘다.

평지나 오목한 곳이 오히려 좋다.

*빌딩에 햇살이 비치는 양광(陽光)살을 받는 것은 내가 방비를 해야한다.

격각(隔角)살은 건물을 다른 건물이 모서리가 충하는 것 창문이 많으면 기가 흩어진다.

*집은 옆이 긴 것이 나쁘고 깊이가 긴 것이 좋다.

도로는 동서가 좋다.앞에 명다이 있어야 하고

*집 앞 물이 곧으면 군인 검사 경찰 등 매정한 사람이 좋다.

*나홀로 아파트 독체 외딴집 등은 좋지 않다. 개인주택도 어우러지는 곳이 좋다.

환기와 밝아야 한다.

아파트는 집중형이 좋고 가운데가 좋다.

* 같은 아파트는 괜찮으나 다른 건물이 앞을 막는 것은 흉이다.

물이 시작과 끝나는 데는 가까이 가지마라, 분수령 같은데는 않좋다. 속리산이 삼강의 원류인데 속리산 주위는 없다. 괴산 음성쯤에서 인물난다.

*집을 지을 때

왕산왕향을 놓아라(건좌,해좌,축좌=동남방향, 남서방향)

서북방(건)에 꺾어지으면 대주가 문제 된다,건강 파직 등을 면치 못한다.

*동북방은 귀방(鬼方)이라 꺾어지어도 괜찮다.서남도 괜찮다.

* 집은 정대해야 한다. 사족은 불필요하다(멋부리는 것)

*아(亞)자나 네귀둥이가 꺾어진 것은 흉택이다.

*역으로 네변이 들어간 아자는 사방이 살아있는 것은 대길하다.

*팔각 원형집은 줏대가 없어 좋지 않다.

*동서가 긴 집인데 가운데 동서로 짧아진 집은 살면 살수록 손재가 된다. 반대인 남북은 상관없다.

동은 젊은 사람 남향은 주작 신혼 스포츠 중앙은 구진 안정적인 사람 서쪽은 청렴 의기 북쪽은 현무 지혜 상징

*이사는 삼살 손 등의 방향상식은 맞지 않다.(천지는 동서남북이 의미가 없다)

서남수가 물이 보이고 감아 도는 물이 좋다. 물이 배반 한다 던지 산이 배반하는 것을 조심해라(재물이나 사람이 흩어진다.). 부자 동네 가서 살아라.

근본적으로 물이 흩어지는 자리는 안 된다 . 땅은 부자와 가나한 땅이 있다. 하지만 지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무안 몽탄면 25-30명씩 검판사가 있다. 왕대밭에 왕대나고 쫄대밭에 쫄대난다.

서남은 산이 오면 안 되고 물이 있어야 한다.

물은 멀리서 양광(햇살에 비치는 물)이 보일 수 록 좋다 가까이는 효과가 없다.

사람만 수술하지 말고 주택수술을 해줘라 길흉이 왔다 갔다 한다.

담을 치고 역수를 쳐줘라.

*문주조법은 일반 양택법은 맞지안다.(불을 땔 때 이야기다.) 그래서 현공에서 왕산왕향을 따지면 된다.(건,해,축좌를 향해라.)

* 집은 생물이다. 집은 살아 있는 집에 들어가야 한다.

현관은 입이고 목구멍이다. 문을 코너는 가급적 피해라.

외부의 기운이 들어오는 것으로 현관이 안방이나 침대가 보이면 좋지 않다.

*취재위(聚財位)-방에서 가장 먼 모서리쪽

*문곡위(文曲位)-문에서 옆 모서리쪽 *학생안 공부자리는 문에서 옆쪽인

*문충살(門冲殺) 문이 바로 되는 살, 門冲殺(뇌일혈,당뇨,암증에 걸린다.)

*에리버이터에 바로 문으로 들어가는 것은 피해라(白虎門殺)

*천충살(穿沖殺) 문에서 바로 계단이 내려 오는 것,엘리베이터 등

*문은 정면이 제일 좋다= 왕산왕향(旺山旺向(건,축,해좌)이다. 그렇지 못하면 앞으로 봐서 죄측이 좋다. 오른쪽 백호 왼쪽은 청룡이다.

*문이 들어가는 입구에 침대는 흉이다-

*침대는 완전한 벽쪽 문에서 제일 깊은 곳=배산(背山)벽- 취곡위(聚財位)

*장롱자리를 잠자리로 바꿔라. 사람은 잘 때 복을 받는다.

*회사는 어떤 곳도 괜찮지만 잠자리가 중요하다. 사람은 집이 중요하다.

*아파트의 방문이 서로 마주보면 살풍이 생겨 항상 싸운다. 화장실은 집중앙에서 피한다.

.

* 주방은 건강과 금전운을 지배한다.

안방에서 보이면 좋지 않다.

불은 번지면 안 되기 때문에 거실 안방등 문이 보이지 않게 해야한다.

칼은 주방에 그냥 내어 놓으면 금전과 관계된 고민을 한다.

불에 관계된 조리도구는 물을 쓰는 싱크대 아래에 두면 좋다.

*황제택경에 형화방(刑禍方)(대장군방,삼살방,오귀방)은 뒤이고 복덕방(福德)은 진술(辰戌) 축을 기준으로 앞쪽이다.

*복덕방은 맑고 소리 나고 밝은 것을 해라 자주 바꿔주어라. 청결하게 하라.

동서사택은 틀린다.*팔택파 동서사택이 위주다.-방향을 무시하고 완전한 벽이 좋다.

*그림 걸기

인물화나 추상화는 서로 마주보는 것이 않 좋고 꽃그림은 어느 방향이라도 좋다

가족사진이나 현관에서 보이는 것이 좋다. 동남서남향이 좋다.

*사장님의 자리배치는

사무실에서 문앞은 문충살로 좋지 않고 가급적이면 재곡위에 놓는 것이 좋다.

* 집이 청결하지 못하면 부부싸움이 잘난다.

*뉴욕에 쎄븐트레인 이라는 도시의 낙서 부른버그라는 시장이 낙서를 엄하게 법을 만들어 낙서를 지우고 깨끗하게 했더니 살인사건이 70%가 줄었다. 주위환경이 문제다.

*현관 옆에 수족관을 만들어 금붕어 기른다.

4마리-공부, 돈은- 6마리,부동산은- 8마리,어학선생 권위의식-9마리 흉수(破財數)는 2마리-흑성, 3마리 -파제,7마리 -구설,

미혼은 1마리 현관입구에 남자는 나가는 오른쪽 쪽에 꽃을 둔다, 여자는 왼쪽에 꽃을 둔다.

*붕어는 금어라고 용어라고 한다. 영롱한 색과 항상 길한 방향에서 움직여준다.

암동(暗動)한다 動하는 것은 吉이냐 凶이냐가 갈라진다.

*동일한 조건에서의 점포일 때는 2가지 이유가 있다.

1,문을 어떻게 내느냐?

2,좌하고 주인의 합이 맞는가를 본다. 명국과 좌향을 충이 되면 안 된다.

* 음택

용혈사수(龍穴砂水), 와겸유돌 福德方 刑禍方 (나경 패철의 진술축), 자기장을 중심으로 두뇌의 기준에서 봐야 하는데 북두칠성을 중심을 보기 때문에 문제다.

와겸유돌이다. 땅에는 자기장이 흐른다. 머리 두뇌한 만큼의 대자광이 있다. 태양의 정력과 지상의 대자광이 전화작용이 동시에 발생한다. 그러한 작용에 의해서 디엔에이(유전자) 작용이 같은 유전자에게 돌아온다.

산소를 잘 못 쓰면 패망한다. 합장 경우 여동우남은 필요 없다. 먼저 돌아가시는 분이 왼쪽에 쓴다. 나중에 돌아가면 오른쪽에 써라.

용혈사수

*지령인걸-논두렁정기라도 받아라. 영기로 (뼈다기로) 조상 부모가 만들어준다.

용은 산맥을 말한다. (장부로 산이요 장용이요) 혈자리가 훈법(혈법) 窩兼乳突(와겸유돌) 의 사상이다.

운기가 솟고 수기와 온기가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천년이 가도 골이 상하지 않는다.

유골만 그대로 있다.(황골).안개가 서린다.

후한서의 역사서에서 안동포를 팔먹는 사기사건 같은 역사가 있다. 장례문화의 허례허식

왕충이나 왕융 같은 사람이 장례의 허례를 비방했다.

火葬문화는 공원묘지는 좋지 않다(터가 좋지 않다). 차라리 화장해라. 돌틈은 기가 통하지 않는다

청오경에 보면 ‘기인토행’ 기는 흙으로 인해서 류행한다. 토는 기의 덩어리이다.

바위 위에서 초목이 자랄 수 없다.

풍수는 기가 잘 모이느냐 흩어지냐를 보는 것이다.

파묘라도 좋은 데는 좋다. 조금만 비켜서 써라.

* 묘주위에 사토나 나무는 제거하는 것은 형화방과 복덕방을 잘 가려서 뒤에서부터 앞으로 와서 끝을 내라.---황재택경에 나와 있다.

*묘는 지나치게 상석 장대석 솟대석 둘레석 등은 용맥이 강할 때는 좋으나 힘이 없을 때는 꺼린다. 묘는 호화로울 수 록 손해다. 포크레인으로 산에서 오는 원형을 파괘한다.

산소난 집은 작은 것이 좋다.

* 구곡수는 당대만석이다. 음양택모두다 적용된다. 음택은 트인 것 보다 숨는 것이 좋다.

명당(용맥의 밥상,영혼)은 적당해야 한다. 상석 등도 그렇다. 양택은 조금 넓은 것이 좋다.

급경사는 피해라. 산수수류는 노왕멸후라 명당이 없어서 그렇다. 허우대는 멀쩡하나 영혼이 없는 것과 같다.

명당은 장방이 좋다(옆이 넓은 것이 좋다). 집은 깊어야 한다.

* 천장지비-하늘과 땅이 비밀을 감춘다. 정통과 정법을 해야 한다.

좋은 명당은 종산이 많아서 잘 구 할 수 없다.

물이 내려가는데 산이 막는 것이 하수사인데 하수사 길이 만큼 동네가 얼마나 크냐가 된다. 하수사 길이만큼 동네길이이다.

*신도안의 천도는

고려 권중하와 무학대사가 잡은 신도안 양 쪽 천을 태을 이 있고 자미원국 1080년 도읍지이고 30년만에 일본을 앞선다. 중국은 꼼작못한다.100년 후에는 동북아에서 최고의 나라이다. 명치유신이 경도라는 데로 다시 돌아가야한다, 경도보다는 더좋다. 지질학자들도 현대 대지에서 1000미터의 산이 올라 올 수없는 이변이다. 해좌사향을 놔야 한다. 자좌오향은 살인사건이 난다. 석계리 말봉으로 말잔등혈 기룡혈이다. 영특한 인재가 많이 난다. 단박에 1억명이 된다.젊은 천국이 된다.

양수 합금 이고 기룡혈은 수법이 맞지 않으면 살인난다. 천진교,원불교 등 300개 종교단체 난립했다.

*대도시 풍수

창원시의 풍수는 산이 싸고 양쪽에서 하수사(물이 빠지는 것)라는 것은 격권(서로맞주보는것이 좋다) 수구가 조밀하고 물이 해수양조가 좋다(밀물과 쌀물이 왔다갔다)있다.

한국은 6운과 8운이 좋다. 도봉산 동북에서 온다 (정조대왕 박정희 때)

서울의 용산의 용맥을 기준으로 서남쪽이 용산 신도림 광명.화성 등 발전 동북은 공동화현상이 된다.

인천은 서남수가 보여서 좋다.

서울은 기세는 세계적이다. 소미원국은 속국이다.

살기(박환)가 탈살이 않 된 자리에 주져 앉았다. 안양 수원쪽으로 한강이 감아 돌아야 한다.

한강이 너무 급히 경계를 막았다. 염정(불꽃)인 도봉산의 기운이 탈살이 안되어 있다. 330년이 피터지게 싸웠다. 기세가 등등해서 불처럼 일어나는 기운이 있으나 장구하지는 못하다. 6운 8운이 와서 경제가 일어났다.

역수용맥은 속리산과 김포 한강 서울 충주 여주 이천 강남 김포가 용맥이다.

역수지형은 물의 흐름으로 판단한다. 빈부는 물의 흐름에 따라 결정 난다.

산에는 산의 정기를 지닌 올바른 기운을 찾아야 하고 물은 말고 탁함을 구분해야 한다.

산은 맥이 내려오면 서 허리가 잘록한 곳에는 혈자리가 있다.

용산구 삼각지는 한강을 역수로 감아주는 것이다.(삼각산 인왕산 덕수궁에서 남산으로 다시내려와 삼각지 국방부)5운부터 발해서 40년 운이 있었다. 서울은 양재천으로 흘렀으면 서울터가 삼각지가 된 것이다. 이태원은 이방인의 땅이다. 용산은 왕산왕향으로 1960년대부터 60년간 좋다

앞으로는 사상누각이 될 수 있다.

한강의 기적은 치수공사 탓이다(물은 재물을 모은는 격이다.) 6,7,8운을 만서 좋다.

한국은 1,2,3운은 쇠한다.

교하는 인진강과 한강이 만나서 교하이나 앞에 강화도가 막아서 좋으나 내당수가 없어서 수도가 않된다.장풍이 적다.

경복궁은 해좌 사향이 맞다. 청룡이 짧아서 장자,남자 계승이 어렵다. 인왕산 밑에 놓으면 났다. 임진왜란 일본보다 앞서다

남의 훔쳐보는 격이 규봉인데 도봉산 이 횡령이다(옆거름질한다) 주인이 자기 물건을 훔치는 격이다.

앞산이 남산으로 가야 하는데 화산인 조산으로 가서 화병과 화재가 많다. 한양은 화기덩어리다. 해태(물)의 수호신이 경복궁 앞에 놨는데 작다. 자미원은 앞으로 바져나갈 수밖에 없다. 산이 조말해서 그렇다

계룡산의 산태극 수태극 용수배합(산과물이 결혼했다.)

서울은 내당수가 천계천이 있어서 좋다 하수사(물이 내려가는 길을 막는 산이 있는것 인데 길이만큼 동네의 크기가 결정난다. 관악산이 틀어막고 양재천이 뒤로 감아 돌아서 한강과 반대로 흘러 내려 온다. 왕심리까지

북한과 남한강 1400리가 모여 든다. (경제는)물로는 서울이 재일이나 산세가 소미원이라서 아쉽고 독립국가가 되지 못한다. 북한산이 그 데로 주저앉아 살 세가 탈살이 않되어서 있어 급하다. (용수배합)

부산은 낙동강이 안봉수(보이지 않는 뒤에서 감아 도는 것)을 한다(보이지 않는 곳에서 감아도는 것이 좋다)

서남수가 보이는 사하 남서구가 좋다.

인천광역시는 부천이 좋은 곳이다. 물이 직접 보이지 않으면 좋다.

인천은 서남수의 양수가 보여서 좋다.송도가 33년간은 좋다. 풍탕산이 되서 않좋다 .

대전은 한남정맥에서 계룡산의 서쪽과 보문산의 남쪽 동쪽의 신탄진 장붕국이 좋다,

유성의 동서수가 좋다. 액스포는 당시만 발전 했으나 뒤의 이유는 성공치 못했다.

왜 실패한 이유는 인재이다. 물이 순탄으로 흘렀다. 갑천이 순탄이다.갑천을 구곡수로 만들어라. 역으로 흘렀으면 좋다. 그냥두면 망한다.

광주천은 월각산 지장산등 동남산이 감싼다. 서북쪽이 물도 있는데 아주 잘된 도시다. 동서로 흘러 주고 새로 계발된 도로의 소공망이 문재 이지만 터가 좋아도 아파트 내부의 내부 아파트을 문충살로 문제가 되어 있다.

세종시의 연기군 등의 행정수도에 문제는 30년 시절에 임시행정수도 계획이 있었고 수도로서는 완벽함이 없다. 수도는 전월산 등의 세찬 산이 있어야 하는데 약하고 물은 동서소로 흘러도 청화대는 계룡시로 가고 경제중심으로 발전하면 좋다.나라 땅이 비어있는데 거기로 이전해야 한다. 행정 중심형성 타운 형태의 여러가지 모양으로 건축되는 모양 등은 음양박잡이라 해서 대 흉상이다. 정대한 것이 좋다.

오성은 합수가 되어 좋다.

정부기관은 산좋고 물좋은 곳으로 가야 한다. 뉴욕은 남북수라 수도가 않된다. 와싱턴은 세계지배한다.

대도시는 건축사위주의 문제가 된다. 계발되는 도로가 거의가 공망이다. 북극성을 위주로 북극좌 7.5도 틀어진 진북좌로 판을 놓기 때문에 문제다.

지구는 자장위주로 판을 놔야 한다. 대좌광이 뇌가 지구생긴 자장만큼 생기는데 자장의 방향데로 놓아야한다.실용성이 있어야 한다. 방향성이란 뇌가 천장을 향해 있듯이 인간이 자기장관의 관계성을 이야기한다.

국제타운이 비틀어진 모양이라 지금까지 자꾸 망한다.

풍수사자격증을 따서 건축설계사 자격증을 딴다.

*지령인걸과 *지무정기-땅에는 정기가 없고 성정의 정기-별의 정기가 있어야(은하계에서 오는 모두다다 인간의 본성도 그렀다.)

*성산은 성령의 기운을 타고 태어난다.

*부모로부터 기운을 받았다. 산이 험악한 것은 기가 험악하다. 기가 험악해서 산을 그렇게 험악해 진다.

금한낙지형 남한 삼대 명당 구례 토지리 오미리 유씨 300년 발복지이다. 처용이 녹봉이 계자정향 장자가 이다. 운조루

장자는 무조건 말띠이며 승계를 받는다. 첫

째는 말띠이다.지나 베틀재를 넘어가면 구례에서 가장 넓은 평야를 마주치게 된다. 이 곳이 그 유명한 남한 3대 명당 중의 하나라고 하는 금환락지(金環落地-지리산선년가 금가라가지를 떨어트린 곳)이다.

나무통으로 만든 뒤주가 하나 있다. 두 가마 반이 들어가는 원통형 뒤주이다. 이 뒤주 아랫부분에는 조그맣게 네모진 나무에 ‘타인능해(他人能解)’라고 글씨가 적혀있다. ‘다른 사람도 능히 열수 있다’는 뜻이다. 이 부잣집의 뒤주에 들어 있는 쌀은 지나가던 과객이나, 아니면 동네의 가난한 사람들이 아무나 와서 마개를 열고 1~2되씩 쌀을 퍼갈 수 있도록 배려했던 것이다. 운조루에서 배려했던 쌀의 양은 한 달에 두 가마 반이었다. 만약 월말에 뒤주의 쌀이 남아 있으면 시아버지가 며느리를 책망했다고 전해진다.

*여주군반(노인들이 군반에 들어오면 죽지 앟는데 나가면 1,2년 안에 죽는다. 다. 이조 때 염병이 안 들었다.

*대전 학하리 - 탄허스님이 절을 만들었다. 토질은 척박하였다. 호남고속도로가 뚤리면서 인공으로 가는 기를 막아줘서 부자가 됐다.

전남광주의 기세훈고택 너부실 마을 해남 윤선도의 녹우당 구례운조루

마. 수세(水勢)

물의 형세(形勢)를 살펴 자리(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길흉(吉凶)을 판단한다.

자리로 유정하게 천천히 흘러 들어오거나

감아 돌아 기운을 보호하는 물은 긍정적이다.

반대로 무정하게 달아나거나 흩어지는 물

그리고 자리를 찌르거나 겁박하면서 흘러 들어오는 물은 부정적이다.

1) 조회수(朝懷水)

혈 앞의 명당으로 구곡(九谷)이 들어와 안기는 모습이다.

속발(速發)하며 부(富)뿐만 아니라 귀(貴)의 발복도 가능하다.

대수양조무상지귀(大水洋朝無上之貴) [청오경]

큰물이 가득차서 들어오면 위(上)없는 대귀(大貴)를 얻는다.

2) 위신수(衛身水)

물이 혈처를 완전히 에워싸고 있는 형세다.

호위하는 물은 맑고 고요하며 넘치지도 마르지도 않아야 한다.

부귀가 끊이지 않는다.

3) 취면수(聚面水)

혈 앞으로 물이 모여드는 모습을 말한다.

4) 탕흉수(盪胸水)

혈 앞 가까이 물이 들어와 고였다 나가는 모습으로 길(吉)하다.

5) 공배수(拱背水)

물이 혈의 뒷부분을 감싸는 것이다.

물이 용맥의 기(氣)를 모아 부귀(富貴)가 오래간다.

6) 입구수(入口水)

물이 혈 앞 명당까지 들어왔다 터의 기운을 거두는 사(砂)를

돌아 나간다.

혈처로 왔다 돌아나가는 모습이지만 반배를 하는 것은 아니다.

7) 구곡수(九曲水)

물의 흐름이 지현(之玄)자처럼 굴곡(屈曲)하는 것이다.

구곡수가 명당으로 다가오면 당대에 재상이 난다.

8) 회류수(回流水)

물이 흘러 들어와 고인 다음에 넘쳐흘러 나가는 모습으로 길(吉)하다.

9) 요대수(腰帶水)

허리띠처럼 물이 혈 앞 명당을 환포하며 흐르는 것이다.

금성수(金星水)로 내부 기운을 감싸는 모습으로 길(吉)하다.

10) 창판수(倉板水)

논밭과 같이 물이 넓게 흩어져 혈 앞으로 흘러 들어오는 모습으로

부귀(富貴)가 있다.

11) 폭면수(瀑面水)

작고 낮은 산에 있는 혈 앞으로 크고 강한 물이 떨어지는 경우로

흉(凶)하다.

혈 뒤에 높은 산이 있으면 흉(凶)하지 않다.

12) 충심수(衝心水)

물이 급하고 곧게 찌르면서 품으로 들어오는 경우다.

득수(得水)이나 흉(凶)하다.

13) 사협수(射脇水)

물이 혈이 있는 곳의 옆구리를 찌르는 모양이다.

살상(殺傷)의 흉(凶)이 있다.

14) 이두수(裏頭水)

용맥의 기운이 약하여 여기(餘氣)가 없는 자리를

물이 깎고 파헤치면서 감고 돌아가는 경우다.

15) 견비수(牽鼻水)

혈 앞에 막아주는 것이 없이 훤히 트여

원진수가 앞으로 곧게 빠져나가는 모양이다.

16) 천비수(穿臂水)

물이 혈의 좌우를 감싸는 용맥을 뚫고 들어오는 경우다.

17) 반신수(反身水)

물이 혈 앞에 이르렀다 반대로 도망가는 모양이다.

18) 할각수(割脚水)

물이 자리 앞을 깎고 지나가는 것이다.

19) 누시수(漏腮水)

혈의 좌우에 샘구멍이 있어 그 곳에서 나온

맑고 찬 물이 앞으로 길게 흘러 나가는 것이다.

20) 임두수(淋頭水)

자리 뒤에 용맥이 없이 골이 파여 자리 뒤에서 물이 흘러드는 것이다.

21) 교검수(交劍水)

혈을 감싸는 좌우의 용맥이 짧아

혈 앞에서 외당수(外堂水)가 상교(相交)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외당수를 따라 흐르는 바람의 영향이 혈에 미치므로 흉하다.

22) 분류수(分流水)

혈 앞에서 물이 팔(八)자로 나누어 흘러나가는 모양이다.

23) 누조수(漏槽水)

자리 앞의 땅이 말구유처럼 꺼지고 좌우사(左右砂)가 감싸지 못하고

곧게 뻗어 있는 곳으로 물이 흐르는 것이다.

순전이 있는 겸혈(鉗穴)과 구분해야 한다.

24) 권염수(捲簾水)

발(簾)을 말듯이 물이 혈 앞으로 빠져나가는 모양이다.

가산 탕진하고 과부가 외간남자를 불러들이는 흉(凶)이 있다.

25) 유니수(流泥水)

물이 혈 앞으로 기울어 빠져나가고,

사(砂)도 물을 따라 앞으로 뻗어 나가는 모양이다.

26) 반도수(反挑水)

들어오던 물이 혈 앞에서 등을 지고 달아나는 모양이다.

27) 형살수(刑殺水)

물이 난잡(亂雜)하게 교류(交流)하는 것이다.

28) 암공수(暗拱水)

사(砂)의 바깥에 있어 혈에서 보이지 않는 물이다.

암공(暗拱)은 유정(有情)하여 길(吉)하다.

朝水案外暗循環, 此穴亦非中下地,

只愛案山逼水轉, 不愛順流隨水勢 [의룡경]

조수가 안산바깥에서 보이지 않게 흐르면(暗拱水),

이 혈 역시 중하급의 땅이 아니다.(상급의 땅이다)

다만 안산이 조수를 거슬러 흘러가야 좋고,

조수를 따라 흘러가는 것(山水同去)은 좋지 않다.

29) 융저수(融瀦水)

깊은 물이 모여 흐르지 않는 것이다.

부귀(富貴)가 오래간다.

30) 명가수(鳴珂水)

밭이나 석산의 동굴과 같은 구멍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가 명가(鳴珂)¹⁾처럼 아름다운 것을 말한다.

1) 명가(鳴珂) : 말의 장식으로 쓰이는 옥이나 조개껍질이 흔들려 나는 소리.

1600-1900년의 300년의 12대 만석군을 최부잣집 가문이 지켜 온 家訓은

오늘날 우리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게 한다.

1. 절대 진사(제일 낮은 벼슬) 이상의 벼슬을

하지 말라!!

높은 벼슬에 올랐다가 휘말려 집안의 화를

당할 수 있다.

2. 재산은 1년에 1만석(5천 가마니)이상을 모으지

말라 !!

지나친 욕심은 화를 부른다.

1만석 이상의 재산은 이웃에 돌려 사회에 환원

했다.

3. 나그네를 후하게 대접하라.

누가 와도 넉넉히 대접하여,

푸근한 마음을 갖게 한 후 보냈다.

4. 흉년에는 남의 논, 밭을 매입하지 말라.!!

흉년 때 먹을 것이 없어서 남들이 싼 값에 내 놓은

논밭을 사서 그들을 원통케 해서는 안 된다.

5. 가문의 며느리들이 시집오면 3년 동안 무명옷을 입혀라.

내가 어려움을 알아야 다른 사람의 고통을 헤아릴 수 있다.

6. 사방 100 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특히 흉년에는 양식을 풀어라.

“財物은 糞尿(똥거름)와 같아서

한곳에 모아 두면 惡臭가 나 견딜 수 없고

골고루 四方에 흩뿌리면 거름이 되는 법이다.”

* 나경에 대한 이론

패철은 한국에서 쓴는 말 라경은 포라만상지 천지반을 줄인말 우주만상을 포함하고 있는 경방

주역,천상28 지자기이치,강화의 물의 방향이치,천상에 별의 감응이 지상에 어떻게 내려오느냐의 이치를 측정하는 물건이다.

나침이라는 것은 물에 떠있는 쇠 침을 곷아서 마음대로 돈다 다이야몬드 침을 넣어서 만들었다.

문화가 발달한 나라일 수록 발달, 스위스제가 재일 좋다. 대만이 좋다.중국본토는 열악하다.

천지가 가운데 침이다.

*라경도 3년 공부- 주역기본소양이 있어야 한다.

천상의 28수(천상열차)-동방칠수 서방칠수 남방칠수 북방칠수4*7개의 그룹이다.=28

하늘에 칠성(七星)이 있으니 곧 북두칠성이며 북두칠성은 하늘 동쪽에 칠성별이 있는데 그것은 각항저방심미기(角亢저房心尾箕)이며, 서쪽에 칠성은 규루위묘필자삼(奎婁胃昴畢자參)이고, 남쪽에있는 칠성은 정귀유성장익진(井鬼柳星張翼軫)이며, 북쪽에 칠성(두우여허위실벽;斗牛女虛危室壁)을 합하여 이십팔수(二十八宿)가 되니 각각 응하는 것이 다르게 사람의 몸에 응하니 사람의 몸에 칠백에 응한다.

영성정에 보면 땅에는 정기가 없는데 별의 정기가 향상 땅에 기운을 내려 보낸다.

성정을 받기 때문에 인간의 영대 맑은 기운들이 다르다.

팔자가 다르기 때문에(시간에 따라 어떤 영대의 기운을 받았느냐에 따라 다르다.)

우리네 몸에 아홉개의 큰 구멍과 3개의 혼(魂) 즉, 3개의 정(精)이 있으니 이 경문은 몸에 있는 아홉개의 령(靈)과 3개의 정을 맑게 하고 일깨우는 경문이다.

天有 貪狼 巨文 祿存 文曲 廉貞 武曲 破軍 左輔 右弼 九星

하늘이 있으매 하늘에 탐랑 거문 녹존 문곡 염정 무곡 파군 좌보우필구성의 아홉개 별이 있다.북두칠성의 별이 일곱개이고 좌우로 보필하는 별이 각각 하나씩 있어서 구성(九星)이라 한다.

人有 天生 無英 玄珠 正中 子丹 回回 丹元 太淵 靈童 九靈

사람이 있으매 몸에 아홉개의 큰 구멍이 있으니 아홉개의 그 구멍마다 영(靈)이 있어 그 구멍의 모양이 하늘에 구성 모양이라, 하늘의 아홉개의 별에 응하니 곧 아홉개의 령(九靈)이라 하고,

天有 虛精 六旬 曲生 三台

하늘에 있으매 하늘에 허정 육순 곡생의 삼태성이란 별이 있는데 그 별의 이름이 상태(上台) 중태(中台) 하태(下台) 인데, 다른 이름으로 말하면 육순 허정 곡생이라 한다.

人有 太光 爽靈 幽精 三精

사람이 있으매 사람의 몸에 삼혼(三魂)이 있어 삼혼을 이름하여 천혼(天魂) 지혼(地魂) 인혼(人魂)이라 하여 몸의 머리는 天魂에 속하고, 몸은 地魂이며, 다리는 人魂에 속하는데 이름을 달리하여 三精이라 이름한다. 하늘에는 太極이 있으며, 태극은 곧 우주이니 이 태극은 사람이 몸인 것이다. 태극에는 양의(兩儀)가 생겨나고, 양의에서는 사상(四象)이 생겨나고, 사상에서 팔괘가 이루어진다. 태광(太光)은 업상(業相)으로 해를 말하며, 상령(爽靈)은 현상(現相)을 나타내며 달을 의미하고, 유정(幽精)은 전상(轉相)으로 별을 말하는 것이다.

36층54층까지 있다.

* 1,2층은 팔로 황천살은 전혀 상관없다( 육효를 알아야 아는 원리)

삼합수법이나 수도오행법에 맞으면 상관없다.

*3층은 삼합오행을 따로 배워라.

*4층 지반정침이 가장 중요. 지구는 사람머리 만큼 대자광이 북쪽에 있다.

지남침이 아니라 지북침이 맞다(북쪽을 가리킨다.)

북방에서 모든 문화인물이 난다. 자장이 많은 지역일 수록 영웅이 난다.

정좌향(집터,산소 등의), 용이 24방중에 어느 방향에서 오느냐 -격용이라한다,

*6층 인반중침은 쓴다. 성봉인 별자리 기능만 본다. 산의 길흉을 본다. 6층은 북극좌라해서 북두칠성을 가리킨다. 집구좌는 북두칠성을 가리키는 것 지구에 자기장을 가리키는 것을 자북이라 한다. 산봉우리는 성봉이라 하는데 천상에 별의 모양데로 지구위에 밖혀 있다.

솥이나 종을 엎어놓은 것처럼 성봉은 부자가 나온다 이것을 6층 인반중침으로 본다.

*8층 천반봉침 꾀멜봉자 - 물을 보는 것외에는 절대 보면 않된다. 득수 득파만 잰다.

봉침을 봤기 때문에 모두가 공망을 맞는다., 지구는 동전을 하는데 태양은 서쪽을 가는 것 같은데 지구가 서쪽이 밀리는 현상이 있는데 정남정북에서 흐르는 물은 서쪽은 절벽이고 동쪽은 평지다. 여주 실륵사가 대표적이다.동서수는 북쪽이 절벽이된다.

*베를린이 퇴미원, 자미원은 교또, 계룡산은 자마원이다.

• 생기 복덕법 (좌향망명법)

1)좌향 망명법 (망인의 생년으로 좌향을 정하는 방법)

 건괘ㅡㅡ갑생   간괘ㅡㅡ병, 무생   태괘ㅡㅡ정(사, 축 )생  이괘ㅡㅡ임(인, 술)생

 손괘ㅡㅡ辛생   곤괘ㅡㅡ을, 기생   감괘ㅡㅡ계(申, 진)생   진괘ㅡㅡ경(해, 미)생

 

예: 갑생이라면 건괘이니 건삼련을 붙혀

     일상생기 이중천의  삼하절체  사중유혼 오상화해  육중복덕  칠하절명 

     팔중귀혼 을 屈伸(굴신)해 보는데

 

즉 건삼련의

    생기좌는 ㅡ경유좌요   천의좌는ㅡ 갑묘좌요    절체좌는ㅡ곤申좌요

    유혼좌는 ㅡ임자좌요   화해좌는 ㅡ진손좌요    복덕좌는ㅡ축간좌요

    절명좌는 ㅡ병오좌요   유혼좌는 ㅡ술건좌가 된다.

 

그러므로 갑생인 건괘는 

    경유, 갑묘, 축간 좌가 ㅡㅡㅡ 생기, 천의, 복덕좌니  吉하고

    곤신, 임자, 술건좌가ㅡㅡㅡ  절체, 유혼, 귀혼좌니  평이고 

    임자, 병오좌가ㅡㅡㅡㅡㅡㅡ 화해, 절명,좌니 흉하다.

기타 모두 같은 요령으로 類推(유추)하라  

팔괘

망명

길좌

평좌 흉좌

 

 

갑    생

을기 생

병무 생

정    생

경    생

辛    생

임    생

계    생

 

 

유,묘, 축, 인

축,인, 진, 사, 유

미,신, 자, 술, 해

술,해, 오, 미, 申

오,술, 해, 자

자,오, 미, 신

묘,유, 진, 사

진,사, 축, 인,묘

 

 

미.申.자,술,해 진,사,오

술,해,오.미.申 묘,자

유,묘,축,인 오,진,사

축,인,진,사,유 자,묘

진,사,축,인,묘 미,申,유

묘,유,진,사 축,인,술,해

자,미,신,오 축,인,술,해

오,술,해,자 유,미,신

 

 

진,사,오

묘,자

오,진,사

자,묘,

미,申,유

축,인,술,해

축,인,술,해

유,미,신

 

 

• 망명 좌향법ㅡㅡㅡ조견표

 

 자=임자좌  묘=갑,묘좌  오=병오좌  유=경유  축=축간  진=진손  미=곤미 술=술건

인=간인    사=손사      신=곤신    해=건해

3. 가좌 家坐

家座는 집의 방향이다.

이제까지는 이사를 하는 방향과 이사의 길일을 고르는 작업이었다면, 지금 진행할 작업은 이사하고

자 하는 집의 방향(동향집, 서향집 등등..)을  결정하는 작업이다.

 

집의 방향을 결정하는 대에는 유독 여러 가지 학설이 많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통상 택일법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두가지의 이론을 소개한다.

 

이는 매우 논리적인데, 첫번째는 이사를 하고자 하는 주체의 생년(태어난 해)에 따른 방향의 길흉을

결정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이사를 하는 해에 따른 방향의 길흉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地運定局 - 二十四坐吉凶論

 

 

3-1. 지운정국(地運定局)

 

하나는 천기대요에 지운정국으로 소개되어 있는 이론으로서,

이사를 하고자 하는 주체의 생년(태어난 해)에 따라서 길흉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진술축미년생

甲 庚 丙 壬 寅 申 巳 亥 坐 大吉

자오묘유년생

子 午 卯 酉 乙 辛 丁 癸 坐 大吉

인신사해년생

乾 坤 震 巽 辰 戌 丑 未 坐 大吉

 

우선 집의 방향을 알기 위해서는 라경에 나와 있는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을 기본적으로

알아야 한다.

 

나경(羅經)은 우주의 삼라만성을 포함한 천지와 인륜의 이치가 담겨져 있다는 뜻의 '포라만상(包羅萬象)

경륜천지(經倫天地)'에서 '나(羅)'자와 '경(經)'자를 따와서 붙여진 이름으로 허리에 차고 다닌다하여

'패철(佩鐵)' 이라고도 한다.

 

풍수지리에서 유일하게 필요한 도구로 용, 혈, 사, 수, 향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길한 방위와 흉한

방위의 판별을 하는데 사용하며 그 기본 원리는 원리는 태극에 있다.

 

태극은 음과 양으로 나누어지는데 나경패철의 한가운데 원으로 된 부분이 태극이며, 남북을 가르치는

자침(磁針)이 음양이다. 원을 기준으로 하여 밖으로 나가며 글자가 배열되어 있는 층을 순서대로 1층,

2층, 3층, 4층, 5층, 6층, 7층, 8층, 9층으로 되어 있는 것이 기본이다.

 

 

 

이중에서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은 천지의 기본 방위를 나타내는 기본 층으로 글자가

제일 크고 굵으며 24방위가 표시되어 있어 풍수에 있어서 24방위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

는데 사용한다.

 

지반정침의 24방위는 12지지(十二地支 :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와 10천간(天干)

중 중앙 토(土)인 무,기(戊,己)를 제외한 8천간(甲,乙,丙,丁,庚,辛,壬,癸)과 4유(四維 : 乾,坤,艮,巽)

을 합하여 이루어졌다.

 

12지지는 음(陰)이고 8천간과 4유는 양(陽)이다. 지지자를 기준으로 하여 양을 음 앞에 하나씩 배

정하여 음양(陰陽)이 서로 배합하도록 하였다.

 

임자(壬子),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신술(辛戌), 건해(乾亥)

 

와 같은 배합을 쌍산(雙山) 이라고 하고 오행은 지지(地支)의 오행을 따른다.

 

24방위는 모두 360도로 원을 이루고 있고, 1방위는 15도를 이룬다. 방위는 자(子)는 정북에, 오(午)는

정남에, 묘(卯)는 정동에, 유(酉)는 정서에 배치하여 동서남북 4정방위로 기둥을 세우고,

간(艮)은 동북에, 손(巽)은 동남에, 곤(坤)은 남서에, 건(乾)은 서북에 배치하여 4간방(間方)이 된다.

4정방위와 4간방을 합하면 팔괘방위(八卦方位)를 이룬다. 팔괘는 감(坎=子), 간(艮), 진(震=卯), 손(巽), 이(離=午), 곤(坤), 태(兌=酉), 건(乾)이다.

팔괘가 자,묘,오,유(子,卯,午,酉)지지자이면 좌우에 천간자를 배치하였고, 간,손,곤,건(艮,巽,坤,乾)

사유(四維)자이면 지지를 좌우에 배치하여 팔괘 하나에 3방위씩 배열해서 음양의 조화를 이루었다.

팔괘

감(坎)

간(艮)

진(震)

손(巽)

이(離)

곤(坤)

태(兌)

건(乾)

4층

쌍산오행

 

좌향을 측정할 때 좌와 향은 항상 대칭 관계가 된다. 예를 들어 갑좌경향(甲坐庚向)이면 나경 패철의

갑(甲)과 경(庚)은 대칭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壬-丙, 子-午, 癸-丁, 丑-未, 艮-坤, 寅-申, 甲-庚, 卯-酉, 乙-辛, 辰-戌, 巽-乾, 巳-亥)

 

이 나경을 이용한 양택의 측정은 대지 중심점 혹은 건물 중심점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대지와 건물의 형평을 참작하여 기점(기두)을 설정한다.

 

기점은 단독 주택의 경우 건물의 무게 중심처이고 아파트나 사무실 등은 현관문이 된다.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 곳에서 기점(기두)의 방위를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고, 기타 문, 방, 거실,

부엌, 수도, 하수구, 화장실 등의 방위를 측정한 다음 가상법칙(家相法則)에 의해서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따라서 진술축미년생의 경우에는 甲 庚 丙 壬 寅 申 巳 亥 坐의 집으로 이사를 하면 大吉하다

 

3-2. 二十四坐 吉凶論

이 방법은 이사를 하고자 하는 해에 따라서 방향의 길흉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아래의 도표

를 보고 결정한다.

(통상 年을 기준으로 해서 본다)

 

년월일시

임자좌

계축좌

간인좌

갑묘좌

을진좌

손사좌

병오좌

정미좌

곤신좌

경유좌

신술좌

건해좌

1

신후

대길

공조

태충

천강

太乙

勝光

소길

전송

종괴

하괴

등명

2

대길

공조

태충

천강

太乙

勝光

소길

전송

종괴

하괴

등명

신후

3

공조

태충

천강

太乙

勝光

소길

전송

종괴

하괴

등명

신후

대길

4

태충

천강

太乙

勝光

소길

전송

종괴

하괴

등명

신후

대길

공조

5

천강

太乙

勝光

소길

전송

종괴

하괴

등명

신후

대길

공조

태충

6

太乙

勝光

소길

전송

종괴

하괴

등명

신후

대길

공조

태충

천강

7

勝光

소길

전송

종괴

하괴

등명

신후

대길

공조

태충

천강

태을

8

소길

전송

종괴

하괴

등명

신후

대길

공조

태충

천강

태을

승광

9

전송

종괴

하괴

등명

신후

대길

공조

태충

천강

태을

승광

소길

10

종괴

하괴

등명

신후

대길

공조

태충

천강

태을

승광

소길

전송

11

하괴

등명

신후

대길

공조

태충

천강

태을

승광

소길

전송

종괴

12

등명

신후

대길

공조

태충

천강

태을

승광

소길

전송

종괴

하괴

 

신후(信后) ;

믿을 신, 임금 후 로서 재산이 늘어나고 귀자를 두게 된다. (신자진년)

 

공조(功曹)

공로 공, 마을 조 로서 육축이 왕성하여 지고 귀자를 얻으며 재물이 는다.

가족의 건강과 화목이 보장된다 ( 인신사해 년)

 

천강(天)

육십일 내로 기쁜일이 있게 되며 재물과 자손이 번창한다.

특히 아들을 얻을 수 있다. (사유축 년)

 

대길(大吉)

집안이 편치 못하고  다치거나, 손재수가 있게 된다. (인신사해년)

 

태충(太沖)

삼년내로 질병이나 사망등으로 대흉함이 있다 (해묘미 혹은 유월에 발생)

 

태을(太乙)

장자에게 특히 좋지 않아 사망하던지 장자에게 큰 손실을 안겨다 준다.(인신사해 년에 발생)

 

승광(勝光)

빛을 얻는 형상으로 만사가 형통하고 관록과 시험운에 길해 지고 영광이 있다.(인오술년 발생)

 

전송(傳送)

재산이 늘어나 가업이 번창하고 식구가 풍족해 진다(신자진 년 발복)

 

하괴(河魁)

으뜸 괴로서 자손이 발전하고, 높은 지위에 이를 수 있다 (인오술 년에 발복한다)

 

소길(小吉)

손재,질병,상해등이 발생하기 쉽다 (사유축년에 발생)

 

종괴(從魁)

관재,구설,질병, 시비등이 발생하여 분쟁에 빠지기 쉽다. 특히 부부간에 금이간다

(진술년에 발생)

 

등명(登明)

모친사망, 손재,자손불효등으로서 가사를 도모하기 어렵다 (인오술년에 불길)

 

위 두가지의 이론을 적용하는 예를 들어 본다면

경술년생이 2001년 辛巳年에 이사를 하고자 한다면,

경술년생의 경우 甲 庚 丙 壬 寅 申 巳 亥 좌가 길하고 , 신사년에는 계축,갑묘,손사,정미,경유,

건해 좌가 길하므로 이 둘을 모두 만족하는

 

갑좌-경좌-해좌 등의 좌향을 가진 집이 길한다고 결정한다.

 

得水[득수]란 穴[혈]이 되기 위하여 生긴 始生水[시생수]의

地點[지점]을 말한다.

즉 得水地[득수지] 凹處는 高低屈曲[고저굴곡]이 始生處[시생처]로서

내몸에 힘이 들어오는 곳을 말한다.

穴이 되자면 山이 正常的[정상적]으로 屈曲[굴곡]이 되어져야 正當[정당]한

入首[입수]가 生길 수 있고 陰陽[음양]이 配合[배합]된 穴이 生길 수 있다.

穴이 있는곳에 入首가 있고, 入首가 生긴곳에 반듯이 得水가 있는 것 이니, 

得水는 곳 穴場[혈장]이 形成[형성]되기 위한 山의 屈曲地點[굴곡지점]이다.

屈曲이 있으면 반드시 물이 생기는 것이니 이 地點을 得水라 하고,  

 다시 말하면 陰屈地 陽突處[음양지양돌처]의 陰陽交合[음양교합]에 의해서

 穴이 生기고 이에따라 外的으로 龍穴陰屈地點[용혈음굴지점]으로 보는것이니

 宇宙萬物[우주만물]이 陰陽[음양]의 造化[조화]이듯이 風水도 陰陽의 造化를

 根本[근본]으로 得.破[득.파]의 發生[발생]도 陰陽造化인 것이다.

穴破[혈파]는 破口[파구]중 가장 重要[중요]한 破口이다. 外得外破[외득외파]나

 內得內破[내득내파]도 重要하지만 穴得穴破[혈득혈파]가 제일 重要하고,

 穴破가 없으면 明穴地[명당지]가 될 수 없다고 한다. *<외득외파는 혈장 밖에서 생겨서

 드러오고 나가는 물. 내득내파는 혈장 주위에서 생겨서 나가는 물. "혈득혈파"는 체백이 모셔있는 광중안에

흡수된 물이 밖으로 빠져 나가는 "곳" 이기에 중요하다>

穴破[혈파]는 體魄[체백:시신]이 모셔져 있는 穴坂 周圍[혈판주위]의

外部[외부]에서 吸水[흡수]된 水分[수분]이 빠져나가는 地點[지점]이니,

右旋[우선]이면 前脣左側[전순좌측]에 있고, 左旋[좌선]이면 前脣右側[전순우측]

에 있는 것이다. *<우선은 나침판에 임자 좌 일경우에 입수맥이 계축방에서 내려와서

 자좌가 된다면 우선이고. 좌선도 나침판에 임자좌 일경우에 입수맥이 건해방에서 내려와서

 임좌가 된다면 좌선이 되는것이다.>

穴破[혈파]가 되어있어야 明堂[명당]이되고, 오랫동안 子孫들에게 蔭德[음덕]을

 받는다고 强調하시는 南軒先生[남헌선생:천풍지수의 저자]님의 獨特[독특]하신

 信條[신조]이시다.

入首[입수]와 得水, 穴坂, 穴破[득수.혈판.혈파]는 明堂의 四相[사상]인 만큼

서로 密接[밀접]한 聯關性[연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단히 重要[중요]하다고 본다.

풍수지리설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최초의 기록으로는 신라말의 고승 옥룡자(玉龍子 : 도선국사)에 의해 고려와 이조 시대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백자천손(百子千遜)에 부귀쌍전(富貴雙全)을 가져다 주는 명당대지는 천장지비일석지지(天藏地泌一席之地)라 하여 덕망이 있고 적선을 많이 한 사람에게 하늘이 내려주는 것이라 하였다.

천지신명은 유덕한 주인을 기다리며 부덕지인(不德之人)에게는 명당이 명당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명당 길지를 얻고자 하는 사람은 덕을 쌓고 적선을 하고 정성을 다하여 명당을 찾을 때 하늘이 도와 내려주는 것이 동양철학인 풍수지리의 신비한 이치일 것이다

북악산은 바위 덩어리들이라 오행상 금(金)에 속하며 지나치게 금(金)이 많을 때에는 목(木)이나 화(火)로 강한 기운을 설기시켜야 하는데 산이 온통 바위 덩어리들이라 나무(木)가 없어 강한 기운을 설기시킬 수 없다. 산형에는 오행산형(五行山形)이라 하여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형으로 나눈다. 목성산형(木星山形)은 산세가 높고 우둑하게 서 있는 모습이며, 화성산형(火星山形)은 산봉우리가 뾰죽하고 날카로운 모습이며, 토성산형(土星山形)은 산봉우리가 평평한 모습이며, 금성산형(金星山形)은 산봉우리가 마치 솥을 엎어놓은 것 같은 모습이며, 수성산형(水星山形)은 큰 기복이 없이 마치 물이 흐르듯 이어지는 모습이다.

불(火)은 나무를 태우고 흙(土)도 재로 만들고 쇠(金)도 녹이고 물(水)도 말리는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다. 사주명국에 불(火)이 많아 건조하면 씨가 싹을 틔우지 못한다고 하여 자식이 없다고 보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기(氣)는 천기(天氣)와 지기(地氣)로 나누어지는데 천기는 우리가 호흡하고 있는 공기중에 내포돼 있는 힘을 말하고 지기는 땅속에서 작용하고 있는 힘을 말한다. 사람은 땅의 힘을 먹고 자란 음식물을 통하여 지기(地氣)를 섭취하여 생명을 유지한다. 기(氣)는 우주의 에너지요 만물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원동력이기 때문에 기(氣)가 강하면 건강하고 기(氣)가 약하면 병약해지고 기(氣)가 없으면 죽게 된다.

그러나 지나치게 태강한 땅의 기(氣)는 일반 사람들이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사찰이나 수도원 같은 건물을 지어 심신을 단련하는 장소로 사용

 

皇帝宅經(황제택경)

황제택경 중국의 고전 ?황제택경(皇帝宅經)?의 가상론에는 오허(五虛)와 오실(五實)이 있다고 한다. 황제택경은 양택풍수 서적 가운데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서적 중 하나이다. 양택풍수에 관하여 서술한 가장 오래된 책으로, 유송(劉宋)의 왕미(王微, 420-479)가 저자라고 일부에서 말하나 정확한 저작 연대나 저자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

중국의 전설적인 황제에 가탁(假託)한 저서로서 수나라(2000년전)부터 이론이 나오며 당나라 때의 풍수 이순풍(李淳風), 풍수비판가 여재(呂才) 등의 이름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당대에 이미 성행한 것을 저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돈황(敦煌)에서 발굴된 당나라 문헌 중 ?택경(宅經)?이 있는데, 이것과 ?황제택경?은 몇몇 글자만을 제외하고는 내용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 당나라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경의 특징은 이기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많이 언급되는 동사택 서사택과는 다르다. 이십사로(二十四路), 팔괘(八卦), 배남녀지위(配男女之位), 천간(天干), 지지(地支), 육십갑자(六十甲子) 등의 개념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조 때부터 천세력만세력이 나왔다. 그 이전에는 양반들만 활용. 대감들 외에는 책력을 볼 수 없었다.  

「宅有五虛令人貧耗, 五實令人富貴. 宅大人少一虛, 宅門大內小二虛, 牆院不完三虛, 井灶不處四虛, 宅地多屋少庭院廣五虛. 宅小人多一實, 宅大門小二實, 牆院完全三實, 宅小六畜多四實, 宅水溝東南流五實.」 

“집 가운데 다섯 가지 헛된 것(五虛)이 있는데, 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가난과 궁핍에 빠지도록 하며, 또 다섯 가지 실속 있는 것(五實)이 있는데, 이는 사람으로 하여금 부귀를 누리게 한다. 집은 큰데 사람 수가 적은 것이 一虛, 대문은 큰데 그 안의 집이 지나치게 작은 것이 二虛, 담이 제대로 둘러쳐지지 않은 것이 三虛, 우물과 부엌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것이 四虛, 택지는 넓은데 집이 지나치게 작고 정원만 넓은 것이 五虛이다. 반면에 집은 작은데 사람이 많으면 一實, 집은 큰데 대문이 작으면 二實, 담이 잘 둘러쳐져 있으면 三實, 집은 작은데 각종 가축을 많이 키우면 四實, 물도랑이 남동쪽으로 흐르면 五實이다.”

1. 宅地(택지)의 五實五虛論(오실 오허론)

 

집 구조의 풍수를 논제하려면 우선 가택의 다섯 가지 虛實(허실)을 구분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 다섯 가지 실함(五實(오실)이란

 1)宅小人多一爲實(택소인다일위실).....집이 적고 식구가 많은 것이 첫 번째 실함이 됨(吉) 2)宅大門小二爲實(택대문소이위실).....집이크고 문이 작은 것이 두 번째 실함이 됨(아파트 가 좋다) 길한 집은 이사를 피하라 3)墻院完全三爲實(장원완전삼위실)....담장과 후원이 완전한 것이 세 번째 실함이 됨 4)宅小畜多四爲實(택소축다사위실)....집이 작고 기르는 가축이 많은 것이 네 번째 실함이 됨 5)宅水溝東南流五(택수구동남류오)....집을 낀 개울물이 동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것이 다섯째 실함이다.(동남향 집일 경우이나 즉 물은 집을 감싸고 나아가야 한다는 말)

 

●다섯 가지 허함(五虛(오허)이란

 1)宅大人小一爲虛(택대인소일위허)....집은 크고 식구가 적은 것이 첫 번째 허함이 됨(凶) 2)宅門大內小二虛(택문대내소이허)....집이나 문이 크고 내부가 작은 것이 두 번째 허함이 됨 3)墻院不完三爲虛(장원불완삼위허)....담장과 후원이 불완 미흡한 것이 세 번째 허함이 됨 4)井炷不處四爲虛(정주불처사위허)....우물과 부엌의 자리가 잘못된 것이 네번째 허함이 됨 5)地多屋小庭院壙五(지다옥소정원광오)....당이 많은데 집이 옹졸하고 정원이 드넓은 것이 다 섯째 허함이 됨 500평 넘으면 않 좋다.

황제내경(黃帝內經)의 건강 비결(秘訣)

 

1.   양생(養生)의 첫째 비결은 과로(過勞)하지 않는 것이다. 과로 할경우 음정(陰精)이 소모되고 양기는 항성(亢盛)된다. 계속적으로 반복해서 과로 할 경우 양(陽)은 성하고 음(陰)은 허(虛)하여 음양의 평형이 깨진다. 한의학 이론에 의하면 음양의 평형이 깨지면 병이 생긴다.

 

2.   양생의 가장 중요한 비결은 화(怒)를 내지 않는 것이다. 화를 낼 경우 양기가 위로 솟아 올라간다. 피는 기(氣)를 따라 다님으로 인체의 상부에 피가 적체되며 인체의 기타 부위에 혈액의 유통이 방해를 받거나 통하지 않아 병이 생긴다.

 

3.   봄철에는 사기(邪氣)가 인체의 두부(頭部)를 상하게 하고 여름철에는 사기가 인체의 심장을 상하게 하며 가을철에는 사기가 인체의 견배(肩背)를 상하게 하고 겨울철에는 사기가 인체의 사지(四肢)를 상하게 한다.

 

4.   인체내의 음양의 평형은 상대적이다. 음기가 성하면 양기가 손상을 입고 양기가 성하면 음기가 손상을 입는다. 양기가 성하면 열성(熱性) 병증이 나타나고 음기가 성하면 한성(寒性) 병증이 나타난다.

 

5.   인체내에 대(大) 관절은 열 두 군데 있고 소(小) 관절과 골봉(骨縫)은 354 군데 있다. 인체가 병이 들면 사기(邪氣)는 이상 366 군데에 머문다. 그러므로 치병시(治病時) 366 군데 중 몇 군데를 골라 침(針)이나 구(灸 : 뜸)이나 괄사(刮痧 : 물소 뿔 등으로 환자의 피부를 문질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나 부항을 부쳐 사기를 몰아내야 한다.

 

6.   진맥은 아침 새벽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왜냐하면 새벽엔 음기(陰氣)가 아직 요동하지 않을 때 이므로 기혈(氣血)이 혼란스럽지 않을 시기이기 때문이다.

 

7.   음기(陰氣)가 성하면 꿈에 큰 물이나 바다나 강을 보고 양기가 성하면 꿈에 큰 불을 본다. 인체의 상부에 기가 성하면 꿈에 나르는 꿈을 꾸고 인체의 하부에 기가 성한 사람은 꿈에 높은 산이나 높은 건물에서 떨어지는 꿈을 꾼다. 또 간기(肝氣)가 성한 사람은 꿈에 소리를 지르며 화를 내는 꿈을 꾸고 폐기(肺氣)가 성한 사람은 꿈속에서 울기를 잘한다.

 

8.   양기(陽氣)가 태허(太虛)인 사람은 음기(陰氣)가 극성한 한 밤중(밤 12 시 전후)이 가장 위험하고 음기(陰氣)가 태허(太虛)인 사람은 양기(陽氣)가 극성한 한 낮(낮 12 시 전후)가 가장 위험한 때이며 한(寒)과 열(熱)이 교차되는 병을 갖고 있는 사람은 음과 양이 교차되는 새벽이 가장 위험한 때이다.

 

9.   매운 맛은 기(氣)를 움직임으로 기병(氣病)이 있는 사람은 매운 음식을 많이 먹지 말 것이며 짠 맛은 피를 움직임으로 혈병(血病)이 있는 사람은 짠 음식을 많이 먹지 말 것이며 쓴 맛은 뼈에 영향을 미침으로 뼈에 병이 있는 사람은 쓴맛 음식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단 맛은 근육에 영향을 미침으로 근육에 병이 있는 사람은 단맛 음식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하고 신맛은 힘줄에 영향을 미치므로 힘줄에 병이 있는 사람은 신맛 음식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10.   오래 보면 정기가 소모되어 혈(血)을 상하고 오래 누어 있으면 양기가 기를 펴지 못하므로 기(氣)가 상하며 오래 앉아 있으면 혈맥(血脈)이 창통하지 못하여 육(肉)을 상하고 오래 서 있으면 요슬(腰膝)에 무리가 생겨 골(骨)이 상하며 오래 걸으면 근맥(筋脈)에 무리가 생겨 근(筋)이 상한다.

 

11.   몸은 편안하나 정신적으로 속을 태우고 괴로와 하는 사람은 경맥의 병이 많고 몸이 편안하고 정신도 유쾌한 사람은 근육의 병이 많으며 몸은 고달프나 정신은 유쾌한 사람은 힘줄에 병이 많다. 몸도 고달프고 정신적으로도 고민이 많은 사람은 인후(咽喉)의 병이 많다.

 

12.   봄철에 병을 치료 할 때는 각 경(經)의 락혈(絡穴)을 많이 사용하고 여름철에 병을 치료 할 때는 각 경(經)의 유혈(兪穴)을 치료하며 가을철에 병을 치료 할 때는 육부(六腑)의 합혈(合穴)을 취하여 병을 치료하고 겨울철에 병을 치료 할 때는 한약을 많이 사용하고 침(針)은 적게 사용해라.

 

13.   얼굴의 색깔을 보고 질병을 짐작하라. : 황색(黃色)과 적색(赤色)은 열병(熱病)이고 백색은 한병(寒病)이며 청색과 흑색은 통병(痛病)이다.

 

14.   오실오허(五實五虛) : 맥이 성하면 심(心)에 사(邪)가 들어있고 피부에 열이 있으면 폐(肺)에 사가 들어있고 복창증상이 있으면 비장(脾臟)에 사가 들어있고 이변(二便)이 불통하면 신(腎)에 사가 들어있으며 흉민(胸悶) 증상이 있으면 간(肝)에 사가 들어있다. 맥이 세(細)하면 기(氣) 부족이고 피부가 차거우면 폐기(肺氣) 부족이며 식욕부진은 비기(脾氣) 부족이다. 설사는 신기(腎氣) 부족이고 기소(氣少)는 간기(肝氣) 부족이다.

 

15.   오장의 정기가 안정되어 있을 경우 외사(外邪)가 침입하지 못하나 오장의 정기가 쉬지않고 움직일 경우 정기가 소모되어 외사의 침입을 용이하게 만들어 준다.

 

16.   봄철에는 간(肝)이 사(邪)를 먼저 받고 여름철에는 심장이 사를 먼저 받으며 가을철에는 폐(肺)가 사를 먼저 받고 겨울철에는 신장(腎臟)이 사를 먼저 받는다.

 

17.   인체의 양기(陽氣)는 주로 밖을 호위하고 음기는 인체의 내부의 영양을 관할한다. 인체에 불리한 천기가 사람을 상하게 할 경우 먼저 외표(外表)의 양기가 사를 받는다. 음식의 평형이 깨지고 기거(起居)의 평형이 깨질 경우 인체내에 있는 음기(陰氣)가 먼저 손상된다.

다.

'현공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택풍수에서 지형분석을 할 때 살(煞)의 구분  (0) 2014.09.02
답산요령  (0) 2014.09.02
8운 현공풍수  (0) 2014.09.01
현공풍수  (0) 2014.09.01
형기풍수  (0) 201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