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기본입문

부처님의 일생기

통융 2019. 9. 26. 16:28

부처님의 생애

1. 시대적 배경

1) 인류의 고대문명과 관련한 대표적 종족 - Sem족, Alya족, 漢族

o Sem족 -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주역, 유일신을 가짐.

o Arya족 - 이들은 지금의 코카서스 산맥 북쪽 평원지대에 살다가 기원전 2 천년에서 천오백년에 이르는 동안 이동을 시작했다. 서쪽으로 이동한 아리 아족은 에게문명을 접수하여 그리스 문명을 세움으로 유럽문화의 주역이 되었다. 남쪽으로 이동하던 아리아족은 일부는 페르시아 제국을 건설하고, 일부는 동으로 방향을 틀어 인더스강에 도달하여 선주민 드라비다족이 세 운 인더스 문명을 정복한 후 여세를 몰라 갠지스강으로 이동하여 비옥한 땅위에 그들의 문화를 일구었다.

2) 아리아족의 침략과 브라마니즘의 전개

o 아리아족은 태양, 번개, 바람 등 자연현상을 신격화하여 그 신들을 찬미하 고 제사를 드리는 Brahman교를 만들었다.

- Veda : 브라만교의 성전(聖典) (아리아족의 고유사상)

- Brahma : 창조신(범천, 梵天).

Brahman : 전지, 전능, 영원, 초월적인 존재.

Brahmin : 祭官(제관)

- 브라마니즘(바라만교) : 베다사상을 기본으로 범아일여(梵我一如)를 추 구하는 범신론적 우주관을 가진다.

범신론(汎神論) : 우주는 하나의 커다란 생명체이고 우주 만물에는 신령 이 깃들여 있다 하여 신고 전체우주를 동일시하는 사상체계이다.

o 사성제 계급 확립

- 바라문 : 제사장, 크샤트리아 : 왕족,무사, 바이샤 : 평민, 수드라 : 천민

o 원주민의 윤회, 업 사상을 수용하여 그들의 통치 수단으로 삼음. 브라만 신을 찬양하는 의식을 집전하고 제사를 올릴 수 있는 자격은 사회 최상위 계급인 바라문에게만 제한되어 있고 각 계급간의 차별이 심화되었다.

o 아리아족은 갠지스강 중류지방으로 이주하면서 경제가 발전하고 정치적으 로 강성해저 도시가 발전하였다.

o 부처님이 탄생할 무렵에는 16개국이 있었으며 이들 대국은 왕권이 강성해 졌고, 상업과 수공업이 발전하여 새로운 실력자인 자본가(장로, 長老)가 세력을 키웠다.

3) 혁신사문의 등장

o 정치, 경제적으로 국왕과 자본가의 세력이 커지자 바라문을 정점으로 한 사회구조가 흔들렸으며, 사상적으로도 큰 변혁기를 맞았다.

o 육사외도(六師外道) 등장 - 바라문사상을 비판하는 새로운 사상가가 나타 났다[사문,沙門].

☞ 사문 : 부지런히 수행하는 사람[suramana]

이들 사문들은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고 만물이 브라만 신으로부터 나왔다 는 전변설(轉變說)을 반대하여 만물과 인간은 화·수·지·풍 등 실재 하 는 요소로 구성되었다는 적취설(積聚說)을 주장하였다.

① 도덕부정론(道德否定論) : 푸라나 카샤파 - 사람을 죽이거나 남의 물 건을 훔쳐도 악을 행하는 것이 아니며, 선악의 행위는 도덕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다

② 숙명론(宿命論) : 막갈라 고살라 - 인간의 삶은 단지 과거의 업에 따 라 정해진 대로 운명이 풀려갈 뿐이다.

③ 쾌락주의(快樂主義) ; 아지타 케사 캄바린 - 감각적 쾌락만을 즐긴다.

④ 불가지론(不可知論) : 산자야 벨라티풋타 - 인식의 객관적 타당성을 부정하여 일체의 질문에 대답을 회피한다.

⑤ 칠요소론 : 파쿠다 카챠아야나 - 인간 개체는 지. 수. 화. 풍. 고. 락. 생명(jiva)

으로 본다.

⑥ 자이나교 : 니간타 나타푸트라 - 영혼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업의 속박을 끊어야 한다. 이들은 엄격한 계율을 지키며 극단적인 고행을 하였다

2. 거룩한 탄생

1) 부처님의 전생

o 본생담 [자타카, Jataka] -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에 관한 - 前(本)生談[jataka] : 부처님의 전생에 관한 우화나 설화.

(예), 수미산의 큰 불을 끈 앵무새, 선혜보살(sumeda), 설산동자,호명보살, 인욕선인.

- 비유담 : 석가모니부처님 이전의 여러 부처님들과 보살에 관한 이야기.

2) 룸비니 동산의 탄생 - 4월 8일

o 탄생 - 약 2,600여 년 전 히말라야 기슭의 까삘라(Kapila)국 사꺄(Sakya) 족의 왕자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숫도다나(Suddhodana)왕, 어머니 마야 (Maya) 왕비. 태몽 - 흰 코끼리가 오른쪽 옆구리로 들어옴(당시 크샤트리아 계급 반영),옆구리로 탄생

o 탄생게 -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하늘 위 하늘 아래 홀로 존귀하니 삼계 중생의 모든 괴로움을 마땅히 내가 이를 편안케하리라

- 부처님의 출현을 종교적으로 거룩하게 표현한 것(신본에서 인본주의를 선언).

☞ 탄생 : 무우수. 명상 : 염부수. 깨달음 : 보리수. 열반 : 사라쌍수

부처님오신날이 공휴일로 지정 : 1975년 (크리스마스 1945)

o 고타마 싯달타(Gotama Siddhartha) - ‘모든 것을 이룬다’ '모든 목적을 달성한 사람'이 라는 뜻.

o 마하빠자빠띠 - 7일 만에 마야부인이 세상을 떠나시고 이모인 '마하빠자빠띠' 에 의해 양육, 최초의 비구니가 된다.

o 아시타 선인(예언가) - "이 왕자(부처님)는 세상을 덕으로 다스리는 전륜성왕이 되거나, 출가하면 깨달음을 이루는 위대한 부처님이 될 것”이라 예언 했다.

3. 싯타르타의 성장

1) 농경제(農耕祭)의 명상

o 태자의 출가를 걱정한 숫도다나왕은 태자에게 부족함이 없도록 하였다. 부왕을 따라 농경제 참석, 생존경쟁, 약육강식의 장면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Jambu 나무 아래의 명상 - 농경제 때 처음 본 약육강식의 현상들에 대해 큰 나무 아래에서 깊은 사색에 잠겼다.

2)사문유관(四門遊觀) 19세에 야소다라(Yasodhara)와 결혼

- 동문 : 늙어가는 노파를 만남 ‘나 또한 초라하게 늙어 사람들의 조롱과 혐오를 피할 수 없으리라.’ 앎을 나의 문제로 받아들이는 지혜 - 남문 : 신음하는 병자와 만남 - 서문 : 죽은 시체와 만남 - 북문 : 사문과 만남.

☞ 생노병사에 매여 있는 인간존재의 실상을 목격함.

☞ 사문(沙門 ) : 행복을 찾아서 집을 떠나 수행하고 있는 사람.

☞ 열반(nirvana): 불어서 끄다라는 뜻, 불이 꺼지듯 번뇌의 불이 꺼지는 것을 말함. 늙음과 병듬, 죽음과 괴로움이 고요히 사라진 상태

4. 출가 (2월 8일) ·고행

o 라훌라(Rahula) - 라훌라<속박이라는 의미>가 태어남. 후에 최초의 사미,  마부 찬나와 함께 깐타나 말을 타고 성을 넘어 출가했다(29세).☞ 성을 넘었다 함은 인간의 삶의 테두리를 벗어났음을 의미함.

o 수행자들과 만남

- 고행주의자인 박가바(Bhaggava)에게 고행을 배움.  - 당대의 사상가이자 종교가인 알라라 칼라마(Alarakalama)에게 무소유처 (無所有處, 무색계의 세 번째 천)을 배움.

- 수정주의자 웃다카 라마풋타(Uddkaramaputta)에게 비상비비상처(무색계의 네 번째 최고 천)를 배워 부처님도 높은 선정에 단계에 이름. 교단에 남아 함께 제자들을 가르치자는 요청을 거절하고 깨달음을 향해 고행수행을 택하였다. ☞ 수정주의(修定主義) : 선정에 매몰되어 선정만 고수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6년간의 치열한 고행.

o '가야'의 네란자라강 근처 고행림에서 다섯 비구와 6년간 극심한 고행을 하였다. 당시의 수행법인 고행을 함으로써 욕망을 억제하고 정신생활이 향상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고행은 육체적으로 극심한 학대만 할 뿐 진정 한 열반단계로 나아가거나 깨달음을 얻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 여 고행을 포기하였다..

5. 위대한 깨달음(부다가야, 35세) - 12월 8일

1) 보리수 아래의 명상 - 네란자라강에서 목욕을 한 후 '수자타'(Sujata)여인의 유미죽 공 양을 받음,

o 삡팔라(보리수)나무 아래서 목동이 준 길상초라고 불리는 쿠사(kusa) 풀 위에 앉아 결가부좌를 하고 깊은 명상에 들었다.

- 싯다르타가 수행법으로 택한 방법은 자신의 마음(內面)을 살피는 것이었다.

o 경전에서는 싯다르타의 이러한 수행을 욕망과 고행의 양 극단을 떠난 중도의 수행법이라 한다.

2) 악마의 출현

깨달음 직전에 마왕 파순이 요염한 미녀로 유혹하기도 하고, 군사를 보내 위협하기도 하였다. 이는 부처님의 인간적인 내면의 속삭임 이거나 갈등 등으로 설명된다. 부처님의 항마촉지인은 마왕의 유혹과 위협에 굴하지 않고 이들을 물리쳤음을 의미한다. 악마와의 싸움에서 승리한 싯다르타는 이윽고 조용히 삼매(三昧, samadhi))에 들었다.

- 악마와의 싸움은 정신적, 신체적, 제도적 속박에서 벗어남을 상징한다.

3) 위대한 성도

o 싯다르타는 괴로움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 소멸에 대한 두려움이 있기 때 문이며, 죽음은 태어났기 때문이고, 태어남은 존재가 있기 때문이라는 연 속적인 관계에 의하여 나고 죽기를 반복하며, 이로 인하여 괴로움이 계속 됨을 깨달았다.

o 이 모든 근원은 존재에 대한 무지, 어리석음인 무명임을 알았다.

o 연기법을 깨달아 모든 생명의 존귀함, 변화의 흐름 속에서 만들어지는 관 계, 인간의 근본 고뇌와 원인의 해답을 찾았다.

o 인간이 어떤 모습으로 이루어진 존재인지를 확연하게 아는 순간, 깨달은 싯다르타는 지혜로 충만했으며, 이 세상에 부처님이 탄생한 것이다.

6. 초전법륜과 전법

1) 초전법륜

o 깨달음을 얻고 난 부처님은 49일 종안 보리수 아래에서 진리를 깨달은 자 로서 완전한 기쁨을 누렸다.

o 부처님은 자신이 깨달은 진리가 깊고 심오하여 이를 다른 사람들이 이해 하기가 쉽지 않으리라 생각했다.

o 범천의 권청 -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은 후, '어떻게 중생이 이 심오한 경지를 이해할까'하며 망설일 당시 범천(사함파티)이 부처님께 진리의 수 레바퀴를 굴릴 것을 권청(勸請)하여 중생교화에 나섰다.

o 부처님은 고행을 같이한 5비구를 찾아 와라나시(varanasi)를 향해 길을 떠났다(약 320km).

- 부처님을 보고 벗이라고 부르는 5비구에게 “나를 벗이라 부르지 말라. 나 는 부처가 되었다. 나를 여래라 부르라.”고 말했다.

o 최초의 법문 - 중도(中道) : 애욕과 고행의 두 극단을 떠난 중도의 가르침 , 두 번째 법문 - 사성제(四聖諦) : 괴로움, 괴로움이 생기는 이유, 괴로움의 사라짐, 괴로움을 사라지게 하는 8가지 바른 길을 설하였다.

- 다섯 명 중 안냐따 꼰단냐가 가장 먼저 깨달아 아라한이 되었다. 이때 깨달은 최초의 5비구는 불·법, 즉 2귀의자 이다.

야사(Yasya)와 야사의 친구 등 5명 출가.- 야사의 부모도 출가하여 최초의 재가신자(우바새, 우바이가 됨. - 야사의 친구 50명 부처님제자가 됨(제자가 모두 60명이 됨. 붓다포함61) - 3보가 갖추어진 수행공동체를 이룸.

2) 전도선언 60명의 제자 앞에서 전도선언을 하였다.

비구들이여,나는 신과 인간의 굴레(속박·구속)에서 해방되었다.그대들 역시 신과 인간의 굴레에서 해방되었다.

이제 법을 전하러 길을 떠나라(遊行, 즉 포교).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人天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길을 떠나라.마을에서 마을로, 두 사람이 같은 길을 가지 말고 혼자서 가라.

비구들이여,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은 법,조리와 표현이 잘 갖추어진 법을 설하라.원만하고 완전하며 청정한 행동[梵行]을 보여줘라.세상에는 때가 덜 묻은 사람들이 있다[상근기부터 먼저 포교].그들은 법을 듣지 못하면 퇴보하겠지만들으면 분명 진리를 깨달을 것이다. 비구들이여,나도 법을 전하러 우루웰라의 세나니 마을로 갈 것이다.

3) 제자들의 귀의

o 우루웰라의 깟사빠 삼형제 - 1천명의 제자들과 함께 귀의,- 우루웰라 깟사빠 : 500명, 나디 깟사빠 : 300명, 가야 깟사빠 : 200명. 마가다의 빔빗사라왕 귀의 - 죽림정사(竹林精舍) 기증(최초의 정사),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의 개종 귀의  마하 깟사빠와 아난다, 성도 2년 후 숫도다나왕의 청으로 까삘라국 방문,- 마하빠자빠띠(양모), 야소다라(아내) 등 석가족 여성의 출가 : 비구니 승가 만들어 짐.

<상두산(象頭山) 설법>

- 갓사빠 삼형제와 추종자 1천여 명을 교화한 후 상두산 정상에서 설한 설법

“ 비구들이여, 모든 것은 불타고 있다. 눈이 불타고 있고, 안식이 불타고 있고, 시각이 불타고 있다. 괴로움이든 즐거움이든 비고비락이든 시각으로 인하여 일어난 모든 감각이 불타고 있다. 이것은 탐·진·치의 불로 타고 있다. 또한 그것은 생·노·병·사·슬픔·고통·비탄으로 불타고 있다.”

<부처님의 십대제자>

①마하가섭[Maha Kassapa] - 두타(頭陀)제일, 삼처전심(三處傳心)을 통 해 부처님의 법을이음. 5백 결집주관

②아난다[Ananda] - 다문(多聞)제일, 부처님의 사촌동생, 1차 결집 때 경 (經)을 암송. 25년간 시중

③사리불[Sariputta] - 지혜(智慧)제일, 부처님보다 먼저 열반, 상수제자로 교단 통솔.

④목건련[Maha Moggallana] - 신통(神通)제일, 부처님보다 먼저 열반, 효성 지극 어머니를 지옥에서 구제.

☞사리불과 목건련 – 앗사지에 의하여 귀의. 산자야의 제자 250인 함께

⑤수보리[Subhuti] - 해공(解空)제일, 불교의 핵심사상인 공(空)의 도리를 가 장 잘 이행함

⑥부루나[Purna] - 설법(說法)제일, 설법과 전법의 달인.

⑦아나율[Aniruddha] - 천안(天眼)제일, 설법중 졸다가 야단맞고 정진 중 눈이

멈. 대신 천안을 얻음.

⑧우바리[upali] - 지계(持戒)제일, 왕궁의 이발사(천민), 계율을 잘지 켜 1차결

집 때 율장 암송.

⑨가전연[Maha Katyana] - 논의(論議)제일, 교의에 대한 논의가 가장 뛰 어남.

⑩라훌라Rahulla] - 밀행(密行)제일, 부처님의 아들, 남모르는 수행을 많이 함.

최초의 사미니. 12세 출가. 사리불을 화상으로 목건련을 아사리로 삼아 출가

<사부대중>

❶ 비 구 ; 20세 이상으로서 구족계(250계)를 받은 남자스님

❷ 비구니 : 20세 이상으로서 구족계(348계)를 받은 여자스님

❸ 우바새 : 3귀의, 5계 혹은 보살계를 받은 남자신도 = 거사, 청신남

❹ 우바이 : 3귀의, 5계 혹은 보살계를 받은 여자신도 = 보살, 청신녀

식차마나 : 18~20세 미만의 여자

<여래 10호>

❶ 如來(여래), Tathagata – 모든 부처님과 같은 길을 걸어서 이 세상에 오신분

❷ 應供(응공), Arahat – 아라한 중생들로부터 공양을 받을 공덕을 갖춘 분

❸ 正邊智(정변지) - 바르고 평등하게 깨달은 분. 온전히 깨달으신 분

❹ 明行足(명행족) - 지혜와 덕행을 모두 갖추신 분

❺ 善逝(선유) - 생사의 세계를 벗어나 바른 길로 잘 가신 분

❻ 世間解(세간해) - 세상의 모든 일을 잘 아시는 분

❼ 無上士(무상사), Anuttara – 일체중생 가운데서 가장 높아 위가 없는 분

❽ 調御丈夫(조어장부) - 사람들이 잘못된 생각을 조복, 제어하는 분

❾ 天人師(천인사) - 신과 인간의 스승

❿ 佛·世尊(불 세존) - 깨달으신 분, 세상에서 존경 받는 분

4) 승가의 정신

승 가 : 깨달음에 이르고자 하는 공통목표를 향해 정진하는 이들의 수행 공동체

계율 : 엄격한 계율을 적용하면서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 개성과 특성을 존중

화합 : 무엇보다 화합을 중시, 의견 수렴 시 만장일치제 선택

<육화경> - 승려들의 수행생활을 하는데 화합을 이루기 위한 여섯 가지 원칙. 사원 생활에서 생기는 불화나 분열을 막는 역할을 한다.

1. 신화공주(身和共住): 몸으로 화합하라는 말, 대중이 한 장소에서 같이 살라는 의

미이다.

2. 구화무쟁(口和無諍): 입으로 화합하라는 말, 서로 다투지 말고 화목하 라는 말이

다.

3. 의화동사(意和同事): 뜻으로 화합하라는 말, 서로 협력해 함께 일하라 는 뜻이다.

4. 계화동수(戒和同修): 계율로 화합하라는 말, 함께 계율을 지키며 수행 하란 말이

다.

5. 견화동해(見和同解): 바른 견해로 화합하라는 말, 이해하며 의견을 나 누라는 말

이다.

6. 이화동균(利和同均): 동등한 이익으로 화합하며, 이익를 균등히 나누는 것.

6) 중생교화

(1) 급고독장자와 기원정사 건립

o 급고독장자 - 기원정사(기수급고독원)를 부처님께 기증. 평소 가난한 사 람들을 잘 도와주는 그를 부처님은 대중을 거느리는 네 가지 방법인 사섭 법을 갖춘 사람이라고 칭찬했다.

<사섭법(四攝法)>

- 중생을 교화하기 위한 보살의 네 가지 실천덕목

보시(布施)섭 : 재물이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베품.

애어(愛語)섭 : 진실 되고 사랑스런 말로 대하는 것

이행(利行)섭 : 모든 중생에게 이익이 되는 행동을 하는 것

동사(同事)섭 : 모든 중생들과 함께 일하며 즐거워하고 고통도 함께하는 것

(2) 똥치기 니이다이[Nidi 라고도 함] - 어떤 사람이 전생에 무엇을 했으며

어떤 계급을 가지고 태어났는지 보다는 현재 그가 어떤 생각으로 어떤 행 동을 하는지를 더 중시했다.

(3)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주리반특 - 주리반특은 승단에서 쫓겨나게 되자 부처님은 '먼지를 털자'만 반복해 외라고 하자, 마음속의 번뇌를 털어내고 뛰어난 지혜를 얻게 되었다. 진리를 깨우칠 때는 주리반특 처럼

머리의 좋고 나쁨이 중요치 않고 온 몸과 마음으로 절실하게 체험해야 성자의 길에 들어서는 것임.

(4) 희대의 살인마 앙굴리마라 -

99명을 죽여 손가락을 잘라 염주을 만든 살 인마. 부처님의 교화로 제자가 됨. 악인도 교화가 될 수 있다.

(5) 물싸움을 조정하다 - 가뭄이 들자 카필라 부족과 콜리야 부족은 로히니 강유권을 놓고 군대를 동원할 정도까지 이르렀다. 부처님은 물보다 목 숨이 소중하다 하시며 중재에 나서 두 부족의 소중한 식수원으로 만들었 다. 부처님은 속세를 떠나신 분이지만 세상 사람들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 해 세속일에 관여하셨다.

(6) 부왕의 임종 - 부처님은 정반왕의 임종시 축원을 하고, 향로를 들고 관 앞에서 화장터로 향했다. 출가한 신분이지만 부모의 상에는 관여하셨다.

(7) 수바드라 - 부처님의 마지막 제자. 부처님께서는 위독한 상황에서도 진 리를 구하는 자에게 마지막까지 열정을 바치셨다.

7. 완전한 열반 (쿠시나라, 80세) - 2월 15일

1) 말년의 세 가지 사건

ⓐ 꼬살라국에 의한 석가족의 멸망.

사리뿟따와 목갈라나가 부처님보다 먼저 열반.

ⓒ 사촌동생인 데와닷따의 반역

2) 마지막 여정

o 부처님께서 아난다에게 말씀 하셨다.

세상은 덧없는 것이다. 그러니 너희들은 부디 이 세상에서 스스로를 섬으 로 삼고, 스스로를 의지하라.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라. 법을 섬으로 삼고, 법을 의지하되 다른 것을 의지하지 말라.”

o “인간은 덧없는 존재이다. 그러면서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을 안고 살아 간다. 무지하기 때문에”

o "내가 이미 법과 율을 말했으니 너희들은 그것을 잘 받들고 실천하라. 그 러면 나는 항상 너희들 속에 있는 것과 같으니라.”

3) 최후의 안식

o 춘다 - 베살리성 대장장이 '춘다'의 공양을 받고 혹독한 병에 걸리셨다. 쿠 시나라의 사라쌍수 아래에서 머리를 북쪽으로 향하고, 오른 쪽 옆구리를 바 닥에 대고 사자처럼 발을 포개고 삼매에 드셨다.

o 부처님의 마지막 말씀 ;“모든 것은 변하고 무너진다. 게으름 없이 정진하라.”

o 쿠시나라 - 부처님께서 쿠시나라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셨다.

<불교의 4대 성지(聖地)>

- 탄생지 : 룸비니[Lumbini]동산

- 성도지 : 붓다가야[Budhgaya]

- 초전법륜지 : 녹야원(사르나트, Sarnath)

o Baranasi(바라나시)는 왕국명이며 녹야원은 바라나시 서북쪽에 있다.

- 열반지 : 쿠시나라[Kusinara]

<불교의 4대 재일(齋日)>

- 탄생재일 : 음 4월 8일 (BC 624년경)

- 출가재일 : 음 2월 8일

- 성도재일 : 음 12월 8일

- 열반재일 : 음 2월 15일

☞ 우란분재일(백중) : 음 7월 15일 - 이 우란분재 일을 합하면 5대 기념일

<불교의 10재일(齋日)> : 1일-정광불재일, 8일-약사여래불재일, 14일-보 현보살재일, 15일-아미타불재일, 18일-지장보살재일, 23일-대세지보살 재일, 24일-관세음보살재일, 28일-비로자나불재일, 29일-약왕불재일, 30일-석가모니불재일

<팔상도(八相圖)> :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 가지 그림으로 나타낸 것.

- 팔상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다.

(1) 도솔래의상 : 도솔천 내원궁에서 호명보살로 계실 때 여섯 개의 상아를 가진 흰코끼리를 타고 마야궁으로 내려오는 모습.

(2) 비람강생상 : 마야부인이 룸비니동산에서 무우수 나무 가지를 잡고 아이를 낳는 모습. 태어남은 우연이 아니라 내가 선택한 것이다.

(3) 사문유관상 : 동(노인), 남(병자), 서(죽음), 북(수행자)의 네 성문 을 나가 살펴보는 모습.

(4) 유성출가상 : 태자의 나이 29세 2월 8일(음력)에 성 밖으로 나가 출가하는 모습.

(5) 설산수도상 : 깨달음을 위해서 6년간 설산(고행을 상징)에서 수도 고행하는 모습.

(6) 수하항마상 : 35세 되던 해 보리수아래서 모든 번뇌, 즉 마왕파순 (갖가지

욕망, 애착 등)의 항복을 받고 결국 성도(成道)이루는 모습.

(7) 녹원전법상 : '범천의 권청'을 받아들여 같이 수행했던 녹야원의 다 섯 수행자들에게 최초로 법을 설하는 모습, '초전법륜'이라고 함.

(8)쌍림열반상: 쿠시나라의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시는 모습

8. 부처님

1) 32상 80종호 – 신체상의 뛰어난 특징.

2)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 정신상의 구족한 위덕

o 10력(十力), 4무소외(4無所畏), 3염주(三念住), 대자비(大慈悲).

3) 4지(4智) - 성소작지, 묘관찰지, 평등성지, 대원경지.

4) 6신통(6神通) - 천안통, 천이통, 타심통, 숙명통, 신족통, 누진통.

5) 불기(佛紀) - 1956년 네팔에서 개최된 세계불교도대회에서 1956년을 불기 2500년으로 정했다.

6) 부처님께서 재가신자에게 가르치신 중점 내용

부처님은 설법할 때마다 ❶ 남을 위해 보시하고, ❷ 계를 지키며, ❸ 하늘에 태어날 것이라 하셨다.

o 시론(施論) - 공덕을 쌓아라.

o 계론(戒論) - 5계를 지켜라

o 생천론(生天論) - 깨달아라.

'불교의 기본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천  (0) 2019.10.16
경전의 4구게들  (0) 2018.08.17
지금 고통에서 벗어나라. 만동자의 질문  (0) 2018.06.29
3종외도와 불교의 자유의지설  (0) 2018.06.29
초기불교와 테라와다. 아비담마  (0) 2018.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