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간화선) 집중수행

다도(茶道)란?

통융 2017. 3. 31. 20:41

 

* 다도(茶道)가 무엇입니까?

 

1, 차를 마신다.(오직 행 할 뿐!)

 

2, 차(茶)나 한 잔 하시게.(설명이다)

 

소승도 차를 접한지가 근30년이 되어 간다.

통도사 불국사  찻집 인연도 여러 해가 된다.

 

<다도는 형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에 있다.

한국의 茶禮와 일본의 茶道는 분명 다르다.

한국의 다도가 많이 보급되어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차를 다루는 다인들을 많이 본다.

다례와 다도의 본질을 얼마나 이해하고 차를 나눔하는지?>

 

 

*** 센노 리큐(千利休1522)는 일본에서 일본다도를 정립 한 것으로 유명한 역사적 인물이다(승려, 정치가). 특히 와비챠(わび茶, 草庵の茶) 전통의 원조가 되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다조(茶祖)라 부르기도 한다. 조화와 존경, 맑음과 부동심을 의미하는 화경청적(和敬淸寂)의 정신을 강조하여 차마시는 것을 단순한 마시는 행위에서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로서 차도를 만든 사람이다.

 센노리큐(千利休)가 도요도미 히데요시의 다도 선생이 었으면서도 말년에는 밋보여

할복을 강요당하며서

"내가 칼을 잡고 있는 지금 부처도 없고 조사도 없다." 말을 남기고 할복하여 죽는다.
 ㅡ이것이 다도의 정신이다.

모든 순간 행위자만 있을 뿐이다.

차를 마시는 그 자체가 도임을 바로 아는 것이 다도이다.

 

* 끽다거(喫茶去)

선종의 화두로 조주 종명(668년)이 납자에게 물었다.

전에 이곳에 와 본적이 있는가?

와 본 일이 없습니다.

'차나 한 잔 한잔 하시게'

 또 다른 납자는 와 본 적이 있습니다.하고 대답했다.

조주는 역시

' 차나 한 잔 하고시게'.했다.

그것을 본 원주가 화상께서는 매양 똑같은 물음을 하시고 무엇이라 대답하던, 차마시고 가라고만 하시니 무슨 뜻으로 그렇게 말씀합니까? 하고 물었다.

조주는 원주하고 부르니 원주는 예하고 대답하자

자네도' 차나 한 잔 하시게'했다.

 

*다경(茶經)- 육우

770년경에 만들어진 최초의 다도서로, 차를 마시는 풍습이 널리 퍼진 당나라 중기에 간행되었다. ‘다경’이란 차의 교과서라는 뜻이다. 상 · 중 · 하 3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1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의 기원에서 시작해 도구와 끓이는 법, 마시는 법을 정신적 · 미적인 감각으로 풀어 쓴 글이다.

차의 원산지는 인도의 아삼(Assam) 지방이다. 중국에는 아주 오래전에 운남(雲南)을 거쳐 사천(四川)을 통해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한(漢)나라 때에는 이미 사천 사람이 차를 마시고 있었다. 그것이 양자강을 따라 내려와 강남으로 전해졌고, 남북조시대에 북조인은 유제 음료를 마시고, 남조인은 차[명(茗)이라 불렀다]를 마셨다고 한다.

수나라와 당나라에 이르러 남북이 통일되자, 차 마시는 풍습이 화북 지방까지 전해졌다. 일반 민중이 차를 마시기 시작한 것은 8세기 당나라 현종 때부터이며, 그 풍조를 반영해 이 책의 저자인 육우와 같은 다인(茶人)이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상권은 원(源, 차의 기원), 구(具, 제차 도구), 조(造, 차 제조법)에 대하여, 중권은 기(器, 차 그릇)에 대하여, 하권은 자(煮, 끓이는 법), 음(飮, 마시는 법), 사(事, 차에 관련된 문헌), 출(出, 산지), 약(略, 약식 차), 도(圖, 위의 내용을 제각기 그림으로 그려서 걸어 두기를 권하는 내용) 등이 총 3권 10편으로 정리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술된 차 마시는 법은 오늘날 한국이나 일본에서 즐기는 말차(抹茶)각주1) 나 전차(煎茶)각주2) 와는 다른 것으로, 당나라 시대 특유의 병차(餠茶)에 관한 내용이다. 병차는 잎을 쪄서 맷돌로 간 후 떡처럼 덩어리로 만들어 건조시킨 것인데, 그것을 굽거나 간 후 분말로 만든 다음 뜨거운 물에 타서 마시거나 끓여서 마시는 것이다.

『다경』은 차를 끓이는 법과 마시는 법에 일종의 정신적인 가치를 두고 미학적으로 기술했다.

제1편 「차의 기원」에는 이런 말이 있다.

“차에는 진정 작용이 있으므로 정려(精勵)하고 근검(勤儉)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또 제4편 「다기」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완(盌, 찻잔)은 월주[趙州, 절강성(浙江省) 소흥(紹興) 부근]에서 만들어진 것이 으뜸이고, 그다음은 정주[鼎州, 섬서성(陝西省) 경양(涇陽)]라 할 수 있고, 이어서 무주[婺州, 절강성 금용(金茸)]와 악주[岳州, 호북성 악양(岳陽)], 수주[壽州, 안휘성(安徽省) 수(壽)], 그리고 홍주[洪州, 강서성 남창(南昌)] 순이다.

형주[邢州, 하북성 형대(邢臺)]의 찻잔을 월주보다 높이 치는 설도 있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형주의 도자기를 은이라고 한다면 월주의 도자기는 옥과 같다. 이것이 형주가 월주에 미치지 못하는 첫 번째 이유이다. 형주의 도자기를 눈이라고 한다면 월주의 도자기는 얼음과도 같다. 이것이 형주가 월주를 넘어서지 못하는 두 번째 이유이다. 형주의 도자기는 하얗기 때문에 차 색깔이 불그스름하게 보이지만, 월주의 도자기는 푸르기 때문에 차의 색깔이 녹색으로 보인다. 이것이 형주가 월주에 미치지 못하는 세 번째 이유이다.”

 

입에 넣으면 쓰고, 목으로 넘기면 달콤하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차를 마시는 행위에도 미적인 면을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다음의 기술을 통해서는 당나라 때에 마시던 차가 담황색(淡黃色)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차의 색깔은 상(緗, 담황)이고, 그 형(馨, 향기)은 아름답다. 입에 넣으면 쓰고, 목으로 넘기면 달콤하다.” (제5편)

찻잎을 쪄서 갈거나 구우면 엽록소가 변해서 담황색이 된다. 푸른색 월주의 도자기에 담황색 차를 넣으면 녹색으로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차의 맛에 대한 표현 또한 너무도 적절하다.

차 끓이는 물도 소홀히 할 수 없다.

“그 물은 산수(山水, 산의 물)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고, 그다음은 강수(江水, 강물)이며, 우물물은 그다음이다. 산수는 유천석지[乳泉石池, 종유동(鍾乳洞), 곧 석회암 동굴에서 솟아오르는 물]에서 천천히 흐르는 물이 가장 좋다.” (제5편)

중국의 우물물은 거의가 경수(硬水)이기 때문에 마시기에 적절치 않고, 종유동의 용천수는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가장 맛이 좋다.

물을 끓이는 방법에 대한 설명도 있다.

“그 물이 물고기 눈알처럼 방울이 떠올라 약간 소리를 내는 것을 일비(一沸)라고 한다. 솥 가장자리로 샘물이 솟아오르듯 거품이 연속해 올라오는 것을 이비(二沸)라 하고, 물이 끓어올라 표면이 마구 흔들리는 것을 삼비(三沸)라고 한다. 그 이상 끓이면 안 된다. 일비에서 뜨거운 물과 말차를 적당량 섞은 다음 소금을 넣어 맛을 낸다. (······) 이비에서 뜨거운 물을 한 바가지 떠낸 뒤 대나무 젓가락으로 뜨거운 물의 중심을 둥글게 저으면서 적당한 양의 말차를 중심에 넣는다. 잠시 그대로 두면 뜨거운 물이 거친 파도처럼 거품을 내게 되는데, 그때 미리 퍼 둔 뜨거운 물을 부어 파도를 잠재우고 차에 거품이 일게 한다.” (제5편)

이처럼 당나라 때의 차 마시는 법은 병차를 가루로 만들어 소금을 조금 넣고 가마에서 끓이는 것이었다. 오늘날 몽골이나 티베트에서 차를 끓이는 방법과 비슷하다.

티베트나 몽골에서는 전차(磚茶)라는 차 덩어리를 으깨서 끓인 다음, 거기에 소금을 넣어 다즙(茶汁)을 만든 뒤 우유와 섞어 마신다. 다즙을 만드는 과정까지는 당나라 때의 차 끓이는 방식과 동일하다.

 

 

* 다선일미(茶禪一味)

원오・극근 선사는 20여 년간 협산사 주지로 있으면서 ‘차와 선(禪)의 관계’에만 몰두하여 마침내 ‘다선일미’의 참뜻을 깨닫고는 그 자리에서 일필휘지하여 ‘다선일미(茶禪一味)’라는 네 글자를 썼으며, 이로 인해 중국의 선풍은 크게 일어나게 되었다. 이 때 원오선사의 문하에 크게 촉망받는 제자가 두 명 있었는데 바로 대혜종고(大慧宗杲:1089~1163)선사와 호구소륭(虎丘紹隆:1077~1136)선사였다. 이 두 사람은 모두 어려서 출가하여 협산사에서 원오 선사를 20여년이나 스승으로 모시며 정진하였다

 

일본 에이사이(榮西)선사는 이때 원오선사가 지은 《벽암록》과 함께 원오선사가 친필로 쓴 ‘다선일미’의 묵적까지 함께 가지고 일본으로 돌아갔으며 뿐만 아니라 1191년에는 일본의 ‘다경(茶經)’이라 할 수 있는 《끽다(喫茶)양생기》를 저술하여 광범위하게 선도와 다도를 전파하였다. ‘다선일미’의 선풍과 함께 크게 성행했던 ‘경산다례’는 그 맥이 끊어져 현재 실체를 알 길이 없다.

 

*동다송(東茶頌)

조선 후기의 고승이며 다도의 명인인 초의(본명 張意恂 1786)가 시로써 다도를 설명한 글

초의의 다도정신은 그의 다선일미사상(茶禪一味思想)과 통한다. 그리고 이 책은 『다경』 등의 옛 문헌이나 시 등을 많이 인용한 술작(述作)이지만, 우리나라 유일의 다서라는 점에서는 높이 평가되고 있다.

 

 

 



* 스즈끼 순류- 수행은 소낙비에 옷이 젖는 것같이 단번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안개에 옷이 젖는 것 같이 스며든다ᆞ


'참선(간화선) 집중수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유스님의 안거법문  (0) 2017.05.12
平常心是道  (0) 2017.04.20
덕산의 깨달음  (0) 2017.03.05
지유스님의 마음 찾는 법  (0) 2017.02.22
선의 종류  (0) 2017.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