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의 계보

불조정맥 전법계

통융 2016. 6. 29. 20:56

 

불조 정맥 전법계

 

석가모니불(B.C.1026~947)

법이라는 본래의 법엔 법이 없으나 법이 없다는 법 또한 법이라.

이제 법 없음을 전해 준다하나 법을 법이라 한들 어찌 법이랴.

 

 

1조 마하가섭(?~B.C.904)

법이라 하나 법이라는 본래의 법엔 법도 없고 법 아닌 것도 없으니

어찌 한 법 가운데 법과 법 아닌 것이 있으랴.

 

 

2조 아난타(?~B.C.867)

본래의 법으로 전하니 전한 뒤에는 법이라 할 것 없네

각각 스스로 깨달으라 깨달으면 법 없음도 없다.

 

 

3조 상나화수(?~B.C.804)

법도 아니요 마음도 아니며 마음도 없고 법도 없나니

마음이다 법이다 말할 때는 그 법은 마음의 법이 아니다.

 

 

4조 우바국다(?~B.C.757)

마음은 본래부터 마음이니 본래 마음에는 법이 있는 것 아니다.

법도 있고 본래의 마음이 있다면 마음도 아니요 본래의 법도 아니다.

 

5조 제다가(?~B.C.691)

본래 마음의 법을 통달하면 법도 없고 법 아닌 것도 없다.

깨닫고 나면 깨닫기 전과 같나니 마음도 없고 법도 없다.

 

6조 미차가(?~B.C.637)

마음이 없으니 얻을 것도 없어 말 할 수 있으면 법이라 하지 못해

만약 마음이라 하면 마음이 아닌줄 알아야 비로소 마음과 마음의 법을 안다 하리라.

 

7조 바수밀(?~B.B.590)

허공 같은 마음으로 허공 같은 법을 보이니

참으로 둘 아닌 경지를 증득하면 옳은 법도 그른 법도 없다.

 

8조 불타난제(?~B.B.535)

허공이 안 밖이 없듯이 마음 법도 그러하다.

만일 참으로 둘 아닌 경지를 깨달으면 이것이 진여의 이치에 사무친 것이다.

 

9조 복타밀다(?~B.B.487)

진리란 본래 이름 할 수 없으나 이름에 의하여 진리를 나타내니

진실한 법을 받아 얻으면 참도 아니요 거짓도 아니다.

 

10조 파율습박자(?~B.B.442)

참 본체 스스로 이러해서 참다우니 참다움으로서 진리를 말한다.

참되게 참 법을 깨달으면 행할 것도 그칠 것도 없다.

 

11조 부나야사(?~B.B.383)

미혹과 깨달음은 가려지고 드러남에 불과하고 밝음과 어두움은 서로 나뉜 것이 아니다.

이제 가려짐과 드러남의 법을 전한다지만 하나도 아니요 둘도 아니다.

 

12조 마명대사 (?~B.B.327)

숨고 드러남이 본래의 법이요, 밝음과 어두움이 원래 둘이 아니다.

깨달은 법을 오늘에 전하니 취함도 아니요 여윔도 아니다.

 

13조 가비마라(?~B.C.269)

숨길 수도 없고 드러낼 수도 없는 법은 진실의 실제를 말하는 것이니

이 숨길 수도 없고 드러낼 수도 없는 법을 깨달으면 어리석음도 지혜로움도 아니다.

 

14조 나알라수나자(?~B.B.212)

숨고 드러날 법을 밝히기 위해 해탈의 이치를 말할 뿐

법을 증득하여 얻음 없으니 성냄도 기쁨도 없다.

 

15조 가나제파(?~B.C.161)

근본을 이룬 사람에게 법을 전함에 해탈의 이치를 말하기는 하지만

법에는 실제로 증득한 바가 없나니 시작도 마지막도 모두 없느니라.

 

16조 라후라타(?~B.C.113)

법은 실로 증득할 것이 없으니 취함도 여읨도 아니니라.

법은 있고 없는 형상도 아니니 어찌 안팍이 일어나리오.

 

17 승가난제(?~B.C.73)

마음의 땅에는 나는 것 본래 없으나 인()의 바탕에 인연 일으키나니

()과 종자가 서로 방해치 않듯 꽃과 열매도 그러하니라.

 

18조 가야사다(?~B.C.13)

종자가 있고 마음의 땅이 있으면 인연에 의하여 싹이 솟는다지만

인연이 서로서로 걸리지 않아 바른 남()이면 나도 남()이 없다.

 

19조 구마라다(?~22)

성품에는 본래 남()이 없지만 구하는 사람을 대하여 말해주니

법은 이미 얻은 바 없거늘 어찌 깨치고 깨치지못함을 걱정하랴.

 

20조 사야다(?~67)

말이 떨어지자 무생에 합하면 법계의 성품과 같으니

만일 이와 같이 깨달으면 현실과 진리를 통달해 마치리

 

21조 파수반두(?~117)

거품과 허깨비 같아서 걸림 없거늘 어째서 깨닫지 못하는고

법이 그 중에 있음을 깨달으면 지금도 옛도 아니다.

 

22조 마노리(?~165)

마음이 만 경계를 따라 구르나 구르는 곳마다 진실로 그윽하므로

흐름을 따라 성품을 깨달으면 기쁨도 근심도 모두 없으리

 

23조 학륵나(?~209)

마음의 성품을 바로 알 때에 부사의라 말하니 분명하게 깨달으면

얻음이 없어 얻을 때는 말하지 않아도 안다.

 

24조 사자보리(?~259)

올바른 지견을 말할 때에 지견이라는 것은 모두가 마음에 갖춘 것이다.

올바른 마음이 곧 지견이요 지견이라 곧 지금이니라.

 

25조 파사사다(?~325)

성인이 지견을 말하나 그 경계에는 시비가 없다.

내 이제 참 성품을 깨달으니 도()도 없고 이치도 없다.

 

26조 불여밀다(?~388)

참 성품을 마음 바탕에 품었느냐 머리도 없고 꼬리도 없으나

인연에 따라 유정을 교화하여 방편으로 지혜라 부른다.

 

27조 반야다라(?~457)

마음에서 모든 종자가 생기고 인연의 일로 다시 이치가 난다.

과만하여 보리가 원만해지니 꽃이 피어 세계를 일으키도다.

 

28조 보리달마(?~543)

내가 본래 이 땅에 온 것은 법을 전해 어리석은 이를 제도하려는 것이다.

한 송이의 꽃에 다섯 꽃잎이니 열매는 자연히 이루어지리라.

 

29조 이조혜가(?~593)

본래의 마음 땅에 인연이 있고 인연의 땅에 종자 심어 나고 핀다 하나

본래에는 종자 있는 적 없어 꽃 또한 나도 핀 적 없네.

 

30조 심조승찬(?~606)

꽃과 종자는 비록 땅에 의하고 땅에 의하여 종자에서 꽃이 피나

만일 사람이 종자를 심음이 없으면 꽃도 땅도 없어서 나지 않는도다.

 

31조 사조도신(579~651)

꽃과 종자의 나는 성품이 있어 땅에 의하여 꽃이 나고 또 난다지만

큰 인연과 믿음이 하나 일 때 그 남은 나도 남이 없다.

 

32조 오조홍인(601~675)

뜻이 있는데 와서 종자를 내리면 원인의 땅에 결과가 나지만

뜻이 없으면 이미 종자도 없어서 성품에는 무생이라 하는 것도 없다.

 

33조 육조혜능(637~713)

마음바탕을 모든 종자가 먹었음이니 두루 내린 단비에 두루 싹튼다.

단번에 깨달아 꽃의 뜻 다하면 보리의 과위를 스스로 이루리라.

 

34조 남악회양(677~744)

 

마음 땅에 여러 종자를 머금었으니 비를 만나면 모두가 싹이 튼다

삼매의 꽃은 형상이 없거늘 어찌 무너짐과 이뤄짐이 있으랴.

 

35조 마조도일(709~814)

마음 밖에 본래 법이 없으니 부촉한다 하면 마음 법이 아니다

이미 마음도 법도 아님을 알았으니 이와 같은 마음법을 부촉하노라.

 

36조 백장회해(720~814)

본래 언어로 부촉할 수 없음이나 억지로 마음법을 전하는 것

네가 이미 받아 가져간다면 마음법을 다시 어찌 말할 수 있으랴.

 

37조 황벽희운(847~859)

병이 있을 때 마음법도 있음이니 병이 아니면 마음법도 없음이라

내가 부촉하고자 하는 마음법은 마음법에도 있지 아니함이니라.

 

38조 임제의현(?~867)

 

지극한 도는 가릴 것이 없나니 본래 마음은 찾고 있을 게 없다.

문득 이와 같음을 알진대 봄 바람에 더욱 앉아서 졸아 보라.

 

39조 흥화존장(?~924)

 

큰 도는 온전히 마음에 있음이니 또한 마음을 구함에 있음은 아니다.

너에게 분부하노니 내 마음의 길은 기쁠 것도 없고, 근심할 것도 없느니라.

 

40조 남원혜옹

(도우)

 

내가 지금 법 없음을 설하노니 설한 바가 다 법이 아니다.

이제 법 없음의 법을 분부하노니 가히 저 법에 머물지 말지니라.

 

41조 풍혈연소(895~973)

설함이 없음이 이 진실한 법이니 그 설하는 법이 원래 설함이 없음이라

내가 지금 말 없음을 분부하노니 말하고 말함이 어찌 말이겠는가.

 

42조 수산 성념(925~993)

자고로 말없음을 부촉함은 나 지금 또한 무설을 설함이니

다못 이 설함이 없는 이 마음은 모든 부처님도 함께 설했느니라.

 

43조 태자원선

허공은 형상이 없으니 형상이라면 허공이 아니라

내가 마음법을 분부하노니 공을 공이라 하면 공이 아니니라.

 

44조 자명초원(985~1039)

허공에 면목이 없듯 마음의 형상도 또한 이와 같아

곧 이 허공의 마음을 가히 하늘 가운데 하늘이라 칭하느니라.

 

45조 양기방회(996~1046)

마음의 바탕은 허공과 같고 법도 또한 허공과 같나니

마음과 허공의 이치를 증득하면 법도 아니고, 또한 마음과 허공도 아니니라.

 

46조 백운수단(1024~1072)

나를 말하나 원래 나는 없고 마음을 말하나 원래 마음이 없다

오직 이는 나도 없고, 법도 없음을 서로 계합하니 나와 마음은 없다.

 

47조 오조법연(?~1104)

진아는 본래 무심함이니 참 마음에는 또한 내가 없음이니라

이는 참되고 참된 마음에 계합하면 나라고 하나 어찌 나이겠는가.

 

48조 원오극근(1063~1135)

도를 얻었다 함은 마음에 자재함이고 도를 얻지 못했다 함은 마음의 번거로움이나

네게 그자심의 도를 분부하노니 기뻐할 것도 없고, 심뇌할 것도 없느니라.

 

49조 허구소륭

하늘이 맑아도 구름은 하늘에 있고 비가 내리면 습기는 땅에 있도다

그 비밀을 네 마음에 분부하니 마음과 법이 이것이라는 이것뿐이니라.

 

50조 응암담화(1102~1163)

부처는 눈으로 별을 보고 나는 귀로 소리를 듣는다

내가 쓰는 것은 부처님과 더불어 쓰고 내게 밝은 것은 너에게 밝다.

 

51조 밀암함걸

부처와 중생의 견해가 그근본은 터럭만치도 간격이 없음이로다

너에게 마음법을 분분하노니 견해도 아니요, 견해 아님도 아니니라.

 

52조 파암조선(1135~1211)

내가 만약 보지 않을 때 네가 응당보지 않음을 보아라

보고 봄은 자기 견해가 아니니 자기의 마음은 항상 나타남이니라.

 

53조 무준사범?~1249)

진리는 곧기가 활줄과 같은데 무엇을 묵묵하고 무엇을 다시 말로 하려는가

내가 지금 잘 부촉하니 마음을 표하자면 본래증득할 바가 없느니라.

 

54조 설암혜랑

본시 사람에게는 미하고 깨침이 없으나 미함과 깨달음이란 스스로 만든 것

젊었을 때는 기억하여 얻었으나 지금은 불각증에 늙었도다.

 

55조 급암종신

이 마음은 지극히 관대하여 저 허공으로도 비유힐 수 없도다

이 도는 다못 이와 같음이니 받아 가지되 밖으로 찾지 말지어다.

 

56조 서곡청공 (29石屋 淸珙) (1272~1352)

지극히 큰 것은 이 마음이니 지극히 성스러움도 이 법이로다

불빛마다 그 빛에 다름이 없듯 이 마음을 스스로 요달해 마치라.

 

57조 태고보우 (1太古 보우) (1301~1382)

마음 가운데 자기의 본래 마음이 있고 법 가운데 지극한 법이 있음이여

내가 지금 부촉하노니 마음과 법에는 마음과 법도 없다.

 

58조 환암혼수(2幻庵 混脩) (1320~1392)

한 길에서 마음 광명이 아니면 삼세와 시방을 밝혀도

어떻게 자기의 심증을 밝히랴 밝음이 있으면 밝지 않음도 있느니라.

 

59조 구곡각운 (3龜谷 覺雲)

나에게는 인가하고 부촉할 법이 없으니 네겐 가히 받을 바 마음이 없음이로다

부촉함도 없고 받을 마음도 없다면 어느 누가 성취하지 아니하랴

 

60조 벽계정심 (4碧溪 淨心)

마음이라야 곧 마음을 능히 알 것이요 법이라야 곧 가히 법을 아는것이니

이제 법과 마음을 부촉하는 바는 마음도 아니요, 또한 법도 아니니라.

 

61조 벽송 지엄 (5碧松 智嚴) (1464~1534)

조사와 조사가 법을 부촉한 일이 없거니 사람마다 본래부터 스스로 있음이니라

너는 부촉할 것 없는 법을 받아 급히 부딪쳐 저 뒷사람에게 전하도록 하라.

 

62조 부용영관 (6芙蓉 靈觀) (1485~1571)

참성품에는 성품이라는 것도 없으며 참법에는 본래 법이라는 것이 없으니

법성이 없음을 요달해 알면 어느 곳인들 통달치 못하겠는가.

 

63조 청허휴정 (7淸虛 休靜) (1520~1604)

법도 아니요, 법 아님도 아니며 성품도 아니요, 성품 아님도 아니니

마음도 아니요, 마음 아님도 아니다. 너에게 이 마음법을 부촉해 마쳤다.

 

64조 편양연기 (8鞭羊 彦機) (1581~1644)

스승이 꽃을 든 뜻을 전하니 나는 이 미소법을 보이노라

친히 손으로 너에게 분부하노니 받들어 가지되 시방세계에 두루하게 하라.

 

65조 풍담의심 (9楓潭 義諶) (1592~1665)

얻었다는 것 본래 얻은 바가 없으며 전한다는 것 또한 가히 전할 바가 없네

지금에 전할 것 없음을 부촉하노니 동쪽 서쪽이 같은 한 하늘이니라

 

66조 월담설제 (10月潭 雪霽) (1632~1704)

전할 것도 없고 받을 것도 없는 법이 전할 것도 받을 것도 없는 이 마음이로다

너 손이 없는 자에게 분부하노니 허공에 힘줄을 끊어버려라.

 

67조 환성지안 (11喚醒 志安) (1664~1729)

불조의 법맥이 흘러 내려오는 한 조각 일, 필경 머리도 없고 꼬리도 없음이로다.

어린 사자여, 너에게 부촉하노니 포효성이 천지에 가득하게 하라.

 

68조 호암체정 (12虎巖 體淨) (1687~1748)

법을 설하나 그것은 어기는 일, 서를 말하니 동을 불렀다.

오늘 아침 크게 웃고 가나니 이 산은 중향 가운데 있다.

 

69조 청봉거안 (13靑峰 巨岸)

 

70조 율봉 청고(14栗峰 靑)

 

71조 금허 법첨(15錦虛 法沾)

 

72조 용암 혜언(16龍巖 慧言)

 

73조 영월 봉율(17詠月 奉律)

 

74조 만화 보선(18萬化 普善)

 

75조 경허성우(19鏡虛 惺牛)(1849~1912)

구름과 달이 곳곳마다 같은데 수산의 대가풍이여

은근히 글자 없는 인을 붙이노니 한 조각 눈 속에 살아있도다.


<수월,혜월,만공,한암>

수월-보월-금오-월산-

 76수월-77보월-78금오-79혜정-80광민(범홍)-81성진(통융)

 

76조 혜월 혜명(20慧月慧明)(1862~1937)

구름과 산은 같지도 다르지도 않고 또한 대가의 가풍도 없구나

이와 같은 글자 없는 인을 너에게 주노라

 

77조 운봉 성수(21雲峰性粹)(1889~1944)

일체 법은 나지 않고 일체법은 멸하지도 않는다.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는 법 이것을 이름하여 바라밀이라 한다.

 

78조 향곡 혜림(22香谷蕙林)(1912~1978)

텅 빈 하늘은 스스로 푸르고 대지는 천하 만물에 생명을 준다.

본래 공한 성품이 아니니 이 것을 너에게 준다.

 

79조 진제 법원(23眞際 法遠)(1934~

 

 

 

 


'선종의 계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달마  (0) 2016.06.29
선종의 계보  (0) 2016.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