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헤스 불교강의>
“불교는 나의 구원의 길” 고백
몇 권의 획기적인 소설작품으로 현대 서구사상사를 근본적으로 전환시킨 아르헨티나 출신의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1899-1986)가 불교를 깊이 공부하고 <보르헤스의 불교강의(1998, 여시아문)>라는 책을 썼으며, 나아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풀어서 자신의 작품의 모티브로 사용하였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보르헤스, 20세기의 창조자
하지만 이성은 태생적으로 분별 취사선택을 지향하기에, 필연적으로 이분법적 세계관을 낳는다. 이런 관점은 또한 필연적으로 모든 세계구성원 사이에 갈등구조를 배가시킨다. 인류에게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던 ‘이성에 대한 믿음’은 생태파괴 등 근대화의 모순이 곳곳에서 드러나면서 점차 인류를 배반하였다.
무언가 잘못되었다. 그 오류의 근원에는, 서구인들이 금과옥조로 여기고 있던 ‘이성’에 대한 낙관론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통렬히 지적한 사람이 보르헤스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통하여 이성에 대한 순진한 신뢰가 얼마나 허망한 것인가 하는 점을 역력히 보여주었다.
보르헤스는 서구 지성들에게 인식의 전환, 그리고 인간과 자연 사이에 새로운 관계 정립을 모색하도록 촉구하였다. 그 핵심은 이분법적 갈등구조를 넘어서 불이법적 세계관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그의 글은 많은 지성인들에게 매우 세련된 방법으로 충격을 주었다. 그리고 그 비전속에는 컴퓨터나 인터넷 같은 새로운 기술문명의 도래에 대한 전망도 들어있다. 그런데, 그런 비전을 낳은 모태가 상당부분 불교에 대한 사색에서 비롯되었다면 대단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스마트폰은 ‘마음’을 카피한 것이다.
그는 29살 때, 무아를 체험하였다. 시간이 끊어지고 세상에 대한 초월적인 관찰자가 되는 생생한 체험이 그를 서구 지성을 열광시킨 독특한 작가로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체험을 불교를 통해 이해하게 되었던 것이다.
보르헤스의 문학세계와 불교
그는 형이상학적 오지(奧地) 탐험가였다. 남들이 미처 밟아보지 못한 정신적 고산준봉과 원시처녀림을 답사하는 것이 그의 가장 큰 즐거움이었다. 너무나 넓은 정신세계가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보르헤스에게 서구의 이분법적 이성중심주의적 사고는 너무나 답답해 보였다.
그는 문학이라는 도구를 통하여 관견(管見)에 사로잡혀 있는 서구 사상계를 마음껏 조롱하였다. 그리고 언어의 망치를 들고 그들의 속되고 편협된 고정관념을 산산이 깨부수는 작업을 감행했다. 알음알이(이성의 왜곡)가 얼마나 사람을 어둡게 만드는가 하는 것은 불가(佛家)에서 오래 전부터 내려오는 가르침이다. 보르헤스가 근대 서구인들에게 하고 싶었던 말은 바로, ‘입차문래 막존지해(入此門來 莫存知解, 이 대문을 들어서는 자는 알음알이를 버려라)’였다.
보르헤스는 지극히 현묘한 초이성의 세계를 날렵한 직관과 거침없는 상상력으로 포착하여, 군더더기 없고 경쾌한 문체로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해놓았다. 그는 마치 깨달음의 소식을 전하는 것처럼 경이적이고 환상적인 세계를 독자들의 눈앞에 펼쳐 보였다.
보르헤스는 만년에 그의 고향에서 행한 강연에서 “불교는 나에게 구원의 길이었다”(<보르헤스의 불교강의>, p. 223)고 고백했다. 그는 청년기에 읽은 쇼펜하우어의 책에서 처음 불교를 접했고, 이후 <불소행찬> 등의 불경과 파울 도이센이나 D. 스즈키의 책을 통하여 불교에 대한 이해를 넓혀나갔다.
알레프, 소설로 그려낸 화엄법계
“홀로 나무 아래 정좌한 싯다르타는 순간적으로 자신과 모든 중생의 수많은 전생을 보았다. 한눈에 우주 구석구석의 수많은 세계를 둘러보았다. 그 뒤 인(因)과 과(果)의 사슬도 모두 보았다.”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p. 93)
싯다르타 태자가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는 이 장면에서 보르헤스는 깊은 감동을 받았다. 바로 한 인간이 자신에게 주어진 시공간의 제약을 뚫고 전우주적 존재로 변모하여 피안으로 도약하는 경험을 증명했기 때문이다. 그는 부처님이 말한 우주의 심오한 구성방식(인과법)을 이해했다. 그는 그 정각 장면을 소설화해보고 싶었다. 먼저 그는 ‘신의 글’이라는 단편을 썼다.
“신성과의, 우주와의 합일이 일어났다. 나는 지극히 높은 바퀴를 보았다. 그것은 내 눈앞에, 뒤에, 또는 옆에 있는 게 아니라 모든 곳에 동시에 있었다. 미래에 있을 것이고, 현재에 있고, 그리고 과거에 있었던 모든 것들이 서로 얽혀 짜인 채 그 바퀴를 형성하고 있었다. 거대한 깨달음에서 오는 기쁨! 나는 우주의 심오한 구성방식을 보았다.”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p. 22)
보르헤스가 말하는 바퀴란 진리의 법륜(法輪)임이 명백하다. 위의 묘사는 부처님의 깨달음의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묘사한 화엄경 입법계품의 선재동자의 깨달음의 장면과 너무나 유사하다. 화엄경에서는 바퀴가 탑으로 비유된다.
“탑은 하늘과 같이 넓고 광대하다. (…) 젊은 순례자 선재는 각개의 탑 하나하나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탑들 속에서, 즉 하나에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고 그 각각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그런 곳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한다.”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p. 23)
그는 〈알레프〉란 단편소설에서 이 세상의 실상이 제망찰해(帝網刹海)의 화엄법계임을 그려냈다. 알레프는 서구 알파벳의 첫 글자로 희랍어의 ‘알파’에 해당하는 말이다. 즉 모든 문명의 근원을 상징한다. 그는 우연한 기회에 어느 지하실에서 우주의 비밀을 간직한 동전 크기만 한 발광체를 보았다고 했다. 그것은 일종의 우주경(宇宙鏡)으로서, 앞에서 나온 바퀴나 탑의 또 다른 비유이다. 그는 마니주를 본 체험을 소설로 형상화했던 것이다.
“그때 나는 알레프를 보았다. 알레프의 직경은 2~3센티미터밖에 안되었지만, 우주 전 공간이 축소되지 않고 거기 있었다. 나는 현기증이 나서 울고 말았다. 왜냐하면 인간들이 그 이름을 남용하지만 결코 본 일이 없는 현현한 가상의 대상, 즉 불가해한 우주를 내 두 눈이 보았기 때문이다.”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p. 27)
보르헤스의 서술은 소설 속의 평범한 묘사를 뛰어넘는 직관이 담겨 있다. 그것은 번개 같은 찰나에 우주의 신비를 깨친 어느 각자(覺者)의 체험이 담긴 글 같기 때문이다.
이 사상은 보르헤스로 하여금 서구 근대철학의 핵심주제인 ‘이성을 가진 근대적 주체(modern ego)’에 대해 회의하게 만들었다. 여기서 이성의 한계에 대해 비판하며, 보다 통합적인 인간성을 모색하는 탈근대적 사유가 탄생하게 된다.
깨달음의 세계와 함께 보르헤스가 불교에서 가장 매력을 느꼈던 주제는 윤회설과 업(業)사상이었다. 업이란 쉬지 않고 짜여지는 인연의 천 같은 것이라는 아이디어는 보르헤스로 하여금 또 하나의 대표작인 <끝없이 갈라지는 미로정원>을 쓰게 했다.
그는 업이라는 그물구조에서 ‘시간의 미로’라는 아이디어를 끄집어낸 것이다. 인간은 이 세상이라는 공간적 미로 속에서 길을 잃고 살아가고 있지만, 동시에 업이라는 시간의 미로 속에서도 전생(轉生)하며 헤매고 있다는 것이 그의 관점이다.
보르헤스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가장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 선불교라고 보았다. 그는 견성성불을 강조하였다. 때때로 난해해 보이는 그의 단편은 일종의 깨달음에 대한 문학적 화두이며, 어떤 시들은 게송(偈頌)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는 일본의 한 줄 시(詩) 하이쿠를 좋아하여 스페인어로 직접 하이쿠를 짓기도 했다.
이분법에서 불이법으로
그들은 보르헤스의 글을 읽고 서구가 수천 년 동안 사로잡혀 있던 이분법의 고정관념에서 깨어 나오는 암시를 받았던 것이다. 이 점에서 우리는 왜 서구의 많은 지성들이 보르헤스를 인식전환의 나침반으로 지목하고 따랐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런 보르헤스 사상의 밑바닥에는 불교가 연연히 흐르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바야흐로 인류를 인도할 새로운 지성의 별이 동쪽에서 떠오르고 있다. 서구의 지성들이 깨달음의 세계에 눈을 뜬 것이다. 동서를 넘나든 보르헤스가 길을 열어놓은 바대로, 그 별은 포용적이고 궁극적 진리를 함유하는 불이법의 불교사상임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
문제는 부처님이 제시한 그 진리가 어떻게 새로운 시대에 맞는 논리와 언어의 옷을 입고 나와서, 서구 지성까지 포함한 온 인류를 인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새 시대를 맞이하는 한국불교의 지성적 사명 역시 여기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 “苦 여의는 깨달음의 종교”
- 사성제 ·팔정도 등 가르침 이해보다 체득해야
독자들은 이 글에서 그동안의 연재를 압축·정리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